Primary Productivity Measurement Using Carbon-14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한국 동남해역의 해양기초생산력 (C$^{14}$ )과 질소계 영양염 동적 관계

  • Published : 1986.03.01

Abstract

The daily net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in October 1985 ranged from 0.7 to 2.7 gCm$\^$-2/ d$\^$-1/ and averaged to be 1.3 gCm$\^$-2/ d$\^$-1/. Surface total chlorophyll ranged from 0.97 to 3.59mg chlm$\^$-3/. Primary production by nano-phytoplankton(〈20$\mu\textrm{m}$) ranged from 43 to 97% in the surface layer. Optimum light intensity(Iopt)was around 300 to 700${\mu}$Es$\^$-1/m$\^$-1/. Surface primary production from 9:00 to 15:00 h was evidently inhibited by strong light intensity beyond the Iopt. Phytoplankton near the base of euphotic zone(30-40m) showed extremely low Iopt suggesting adaptation to a low light environment. Since Iopt represents the history of light experience of phytoplankton at a given depth, the extent of variation in I of phytoplankton at different depth seems to be related to the in tensity of turbulence mixing in the surface mixed layer. From the present study, ammonium excretion by macrozooplankton (〉350$\mu\textrm{m}$) contributes from 3 to 19% of daily total nitrogen requirement by phytoplandton in this area. Calculation of upward flux of nitrate to the surface mixed layer from the lower layer, based on the simple diffusion model, approximates 3% of nitrogen requirement by phytoplankton. However, large portion of nitrogen requirement by phytoplankton remains unexplained in this area. In upwelling area near the coast, adjective flux might be the major source for the nitrogen requirement by phytoplankt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jor nitrogen source for the phytoplankton growth might come from the pelagic regeneration by nano-and micro-sized heterotrophic plandkon. Enhancement of primary production during the passage of the warm Tsushima Current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nutrient dynamics and hydrlgraphic processes in this area.

1985년 10월의 한국 동남해역에서의 식물성 부유생물에 의한 기초 생산력은 0.7에서 2.7gCm$^{-2}$ $d^{-1}$의 범위를 갖으며 본 해역의 평균 기초 생산력은 1.3gCm$^{-2}$ $d^{-1}$ 이었다. 표층 총 Chlorophyll양은 0.97에서 3.59 mgchlm$^{-3}$ 의 범위에 나타났다. 표층에서의 nano-phytoplankton(〈20$\mu\textrm{m}$) 의 기초 생산력은 43내지 97%에 이르었다. 적정광도의 범위는 300에서 700$\mu$Es$^{-1}$m$^{-1}$ 이었다. 표층 기초생산력은 Iopt를 벗어나는 오전 9시부 터 오후 3시까지 광저하 현상을 보였다. 표광층 기저부의 식물성 부유생물은 매우 Iopt를 보이며 이는 이 층의 식물성 부유생물이 장시간 낮은 광도하에 머물러 낮은 광도에 적응하였음을 보여 준다. Iopt은 부유식물의 주변 광도에 대한 적응을 나타 내주기 때문에 여러수층의 Iopt의 변화정도는 해양에서의 수직와류혼합의 강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본 연구해역에서는 macrozoplankton 에 의한 amonium 분비에 의한 영양염 재생산은 식물부유생물의 일일 질소 영양염 요구량의 3-19%를 공급하고 있으며nitrate 수직확산에 의해 밀도약층 하부로 부터 공급되는 영양염은 식물성 부유생물의 일일 질소영양염 요구량의 약 3% 를 공급하고 있음이 밝혀졌다.국지적으로 용승류에 의한 하층으로부터의 영양염 공급은 연안에 가까운 용승역에서 중요한 영양염 공급원이 돌 가능성이 있다.본 연구를 통하여 본 해역에서의 구조적 영양염 주요공급과정은 20$\mu\textrm{m}$이하의 미세 부유생물에 의한 수괴 자체내의 영양염 재순환에 의하고 있음을 암시한다.본 연구를 통하여 대마난류의 기초 생산력은 한국 해역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활발한 영야염 재순환 및 국지적인 용승류 및 연안수의 유입등과 식물성 부유생물의 촉진된 성장을 통하여 증가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