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ause and Control for Non-Sprouting in the Mulberry Field of Kyung-pook Province

경북지방의 뽕밭에 발생한 발아불량현상의 원인 및 방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86.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ring light on inducing factors for non-sprouting occured in the mulberry field of Kyungpook Province in 1983. The results are as follws ; 1. In spring, winter buds were suddenly died during germination, necrosis appeared in pholem and cortex of non-sprouting stem and measles at the bottom of non-sprouting stem. 2. The depth of available of soil was more shallow in the non-sproutiong field than in healthy field. 3. There was no signifioant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y field and non-sprouting field in siol PH,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ble cations. 4. Available boron content in soil was significantly more in healthy field than in non-sprouting field. 5. Boron content in leaf and bark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n-sproutiong tree than in the healthy tree. 6. The non-sprouting fields were completely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6kg/10a borax. 7. Cold tolerance of the mulberry tree was higher in the mulberry tree with boron than in the mulberry tree without boron. 8. Mulberry tree in Kyungpook Province in 1983 may absorb water earlier compared with the average year because of high temperature at the end of March, 1983 and they had been damaged by frost injuary due to the lowest temperature (-6.4$^{\circ}C$) on the grass at the beginning of April 1983. As the above results, non-sprouting bud in the mulberry fields of Kyungpook Province in 1983 had been occured by low temperature and boron deficiency and boron deficiency of mulberry trees accelerared the frost injury.

1983년 춘기 경북 중북부지방의 뽕밭에 원인불명의 발아불량현상이 발생하였던 바,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피해뽕밭을 선택 토양 및 식물체를 분석하였으며 피해지역의기온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피해상의 특징은 전혀 발아를 하지 않고 죽는 것과 발아도중 가지 선단부의 동아가 탈포기까지 피아가 갑자기 말라죽고 피부본부에 Necrosis 현상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가지의 기부에 Measles증상이 나타난다. 2. 유효토심은 피해뽕밭이 30cm이내, 건전뽕밭이 30-60cm이었다. 3. 토양 pH, 유기물 합량, 유효인산 및 치환성기 등은 피해뽕밭이나 건전뽕밭간에 차이가 없었다. 4. 토양내 유효붕소함량은 칠곡 및 상주 화서 뽕밭에서만 건전뽕밭이 피해뽕밭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선산 및 상주 낙동 뽕밭에서는 건전뽕밭이 피해뽕밭보다 약간 많았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5. 식물체의 붕소함량은 엽 피부 똑같이 건전뽕밭이 피해뽕밭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6. 발아불량 피해가 심하였던 뽕밭에 붕사를 첨가하여 사경재배한 뽕나무가 붕사나 붕소를 시용한 결과 토양 및 식물체내에 붕소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거의 100%에 가까운 회복률을 나타냈다. 7. 발아불량 뽕밭에 붕사를 시용한 뽕나무와 붕소를 첨가하여 사경재배한 뽕나무가 붕사나 붕소를 시용하지 않은 뽕나무보다 내동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8. 83년 하순의 이상고온이 예년보다 빨리 뽕나무의 수액을 상승시켰고 이로 인하여 발아유도가 빨랐기 때문에 4월 3일 조상최저기온이 -6.4$^{\circ}C$로 급강하하여 많은 뽕나무가 동해피해를 받았던 것 같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83년 춘기 경북중북부지방의 뽕밭에 발생한 발아불량현상의 원인은 주인이 저온에 의한 동해라고 볼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붕소결핍에 의한 발아불량현상도 적지 않았고 특히 붕소결핍이 동해피해를 가속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