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Vigna unguiculata L.)의 파종기이동에 따른 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s of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n Different Seeding Dates of Cowpea

  • 발행 : 1985.12.01

초록

동부의 파종적기와 한계기를 구명함과 동시에 Growing Degree Days(GDD)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던 바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 지연에 따라 파종후 개화 및 성숙시까지의 일수가 단축되었으며 8월 14일 이후 파종은 개화하지 못했다. 2. 파종이 늦어질 수록 생육초기의 생장속도가 빨라졌고, 중원재래가 그 경향이 뚜렷하였다. 3. 5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의 파종에서는 주경장, 주경절수, 분지수 및 경직경의 차가 없었으나 7월 30일 이후 파종부터는 파종지연 정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다. 4. 주경화경수, 분지화경수, 화경당착협수, 개체당착협수 및 100입중과 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VITA#5는 중원재래에 비해 화경수, 개체당착협수가 않고, 100입중도 무거워 다수성이며, 두품종 공히 조파할 수록 증수의 경향이었고, 파종 한계기는 VITA#5가 6월 30일, 중원재래가 6월 15일 이었다. 6. 개화·착협 당시의 생육조건이 불량하면 협당입수가 감소된다. 7. GDD에 의한 개화까지의 표시방법은 일반 날자로 표시하는 것보다 변이계수가 작아 동부에도 이용가능성을 보였다.

Two cowpea varieties, VITA #5 &Jungweon local var., had been sown at intervals of 15 days from May 1 to Aug. 29,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earlier the two varieties had been sown, the shorter period from planting to first blooming and maturing, the more peduncles, the more pods per peduncle and plant, the heavier 100-grain weight, and the more grain yield we had. VITA #5 was earlier in maturity and higher in yielding performance than Jungweon local var., and both could not bloom in late sowing after Aug. 14. During the period of flowering and seed-setting, bad weather condition decreased the number of grains per pod. Limit sowing date of VITA #5 was Jun. 30 and that of Jungweon local var. was Jun. 15 in the middle part of Korea. Growing degree days (GDD) was available in cowp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