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ecological Studies on Korean Seed-mustard I. Effects of Varieties and Seeding Date on the Variation of Agronomic Traits

한국산 개자(Brassica juncea)의 재배학적 특성연구 I. 수집품종의 특성 및 파종기 차이에 따른 주요형질의 변이

  • Published : 1985.07.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seed mustard varieties,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Muan in Chonranamdo for three years with five local seed mustard varieties and seeding dates. Local varieties collected from Seoul, Cheju and introduced from Japan showed earlier bolting date while Yungsanpo and Suweon varieties bolted later and Suweon variety exhibited the latest maturity. Suweon variety had the shortest plant height with higher number of grains per pod. Seoul and Yungsanpo varieties had more total branch numbers than others. There was no varietal difference in grain weight, pod length and one liter weight. Grain yield per 10a was highest in Seoul variety by 247.5kg. Late seeding date delayed the bolting and flowering date while plant height, total branch numbers, pod numbers per ear and grain number per pod were decreased. The magnitude of varietal response to seeding date was varied greatly with traits. Grain weights per liter, 1,000 grain weight, pod lengths,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seeding dates.

개자의 육종적 개량 가능성과 재배적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집된 5개품종들을 파종기를 달리하여 1980~82년 까지 3 개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간에 추태기는 제주종, 서울종, 일본종이 빠르고 영산포종과 수원종은 늦은 편이었으며 성숙기는 수원종이 가장 늦었다. 2 . 초장은 수원종이 가장 짧았으나 협당종실수는 가장 많았으며 분지수는 서울종, 영산포종이 많은 반면 입중, 협장 및 $\ell$중에 있어서는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종실수량은 서울종이 248kg/10a로 높았다. 3. 유분함량은 품종간 28.8 ~32.1%의 변이를 보였으며 황갈색종피인 서울종. 영산포종. 제주종이 높은 경향이었고 탈지박중의 Glucosinolate 함량은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추태, 개화가 지연되며 초장, 총 분지수, 수당협수가 감소하는 경향인데 추태는 수원종, 제주종, 일본종이 개화기는 제주종이 초장은 서울종, 제주종이 수당협수에서는 서울종, 수원종. 일본종이 그리고 협당입수에서는 제주종이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5. 파종기 지연에 따른 입중, $\ell$중. 협장 및 유분함량이나 지방산조성 변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6 경노계수 분석 결과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총 분지수, 개화기, 수장이었고 간접효과가 큰 형질은 수장을 통한 초장이었던 반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초장이나 수장 보다 개화기나 결실비율의 직접효과가 뚜렷해지는 경향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