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N-P-K Fertilizer Levels for Maximum Production of Grasses and Legumes on Hilly Land

산지에 있어서 주요 목초초종의 최대생산을 위한 N-P-K 시비 수준에 관한 실험

  • Published : 1983.12.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fertilizer level of N-P-K for maximum yield of grasses at hill-land pasture. The pasture species tested were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and ladino clov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erence in yield of treatment 1, 2, and 4, 5 was significant at the 5% level. In other word, alfalfa yields from 6-30-30 kg/10a and 6-40-30 kg/10a (N-P-K) applic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yields from 4-20-20 kg/10a and 4-30-20 kg/10a (N-P-K). In observing the yield from the treatment 5 where 10 kilograms of phosphate was additionally applied over the treatment 4, it was increased in yield but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se results, the most optimum rates of N-P-K for alfalfa production are 6-30-30 kg/10a. 2. Ladino clover showed the highest yield at treatment 6 with statistic significance at the 1 percent level over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NPK rates of 6-30-40 kg/10a would be the most optimal rates for maximum production of ladino clover. 3. Orchard grass yield showed significance at the 1 percent level among other treatments except treatment 3 and 4. The highest yield was also shown at treatment 6 where NPK rates applied 40-30-40 kg/10a. 4. Tall fescue yield showed high significance at the 1 percent except treatments between 2 and 3, 5 and 6.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at treatment 6 where NPK was applied 40-30-40 kilograms per 10a. 5. Nitrogen content of dry matter was 0.91-1.05% in 20 kg of N and 1.05-1.26% in 30-40 kg of N per 10a. The absorption rate of nitrogen applied was 23-31% regardless of the nitrogen level. Potash content of dry matter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K rates. 6. The gross income was the highest on the N-P-K application of 4-20-30 kg/10a in alfalfa and ladion clover, 40-30-40 kg/10a in orchardgrass and 30-20-20 kg/10a in tall fescus.

산지(山地)의 초지개발(草地開發)에 있어서 주요(主要) 초종(草種)에 대(對)한 생산성(生産性)을 향상(向上)시키고 최대(最大)의 수량(收量)을 얻기 위해서 N-P-K의 시비수준(施肥水準)과 이의 경제오(經濟悟)을 구명(究明)코저 화본과(禾本科) 목초(牧草)로 orchardgrass와 tall fescue를, 두과(荳科) 목초(牧草)로는 alfalfa와 ladino lover 공시(供試)하여 시비량(施肥量)을 6처리(處理)로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Alfalfa는 1과 2처리(處理)가 4, 5처리(處理)와 5%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기타(其他)의 처리간(處理間)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따라서 6-30-30(N-P-K, kg/10a), 6-40-30(N-P-K, kg/10a)간(間)에서 인산(燐酸) 10kg를 증비(增肥)하므로서 수량(收量)은 다소(多少) 증가(增加)되었으나 유의성(有意性)이 없으므로 alfalfa의 최대수량(最大收量)을 얻기 위한 적정(適正) 시비수준(施肥水準)은 6-30-30kg(N-P-K, kg/10a)라고 인정(認定)할 수 있다. 2. Ladino clover는 6처리(處理)에서만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므로 6-30-40kg을 시비(施肥)하는 것이 최대(最大)의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는 적정수준(適正水準)이었다. 3. Orchardgrass에서는 3과 4처리간(處理間)을 제외(除外)하고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며 10a당(當) 40-30-40kg을 시비(施肥)한 6처리(處理)에서 가장 최대(最大)의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4. Tall fescue는 2, 3처리(處理) 및 5, 6처리간(處理間)을 제외(除外)한 각(各) 처리간(處理間)에서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orchardgrass와 같이 6처리(處理)에서 최대(最大)의 수량(收量)을 얻었다. 5. 목초(牧草)의 질소(窒素)와 가리(加里)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화본과(禾本科)에서 N 함량(含量)이 20kg의 질소(窒素)를 시비(施肥)한 1처리(處理)가 $0.91{\sim}1.05%$이고 $30{\sim}40kg$을 시비(施肥)한 $2{\sim}6$처리(處理)에서 $1.05{\sim}1.26%$로 N 함량(含量)이 다소(多少) 높았으나 시비량(施肥量)에 대(對)한 흡수율(吸收率)에는 처리간(處理間)의 차이(差異)가 없이 $23{\sim}31%$ 정도(程度)였다. 두과(荳科)에서는 $4{\sim}6kg$을 시비(施肥)한 처리간(處理間)에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화본과(禾本科)와 두과(荳科) 다 같이 20 kg 시비구(施肥區)에 비(比)하여 $30{\sim}40kg$을 시비(施肥)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표시(表示)하였다. 6. 시비량(施肥量)과 경제성(經濟性)을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에 의해서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alfalfa와 ladino clover에서는 3처리(處理)가 가장 높고 orchardgrass는 6처리(處理), tall fescue는 2처리(處理)의 조수익(粗收益)이 가장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