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of the Evaporation in Korea

증발량의 시공적 변화

  • 이광호 (전북대학교 사대 지학교육학과 : College of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김문일 (기상연구소 기상기정 : Applied Meteorological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1985.09.01

Abstract

The distributions of the copper plated(small) pan evaporation in both space and time are analysed with the data observed, and the lake and the potential evaportranspiration are estimated from the climatological data. These valu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o the precipitation for deducing the seasonal amounts and variations of water budgets in the selected basins and regions. The meteorological factor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mall pan evaporation are hardly recognizable when they are used as the monthly valu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mall pan, the Class A pan and the lake evaporation are well correlated with each other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ve 0.90, so it may be possible to derve other evaporations from knowing one evaporation. The ratio of the Class A pan and the lake evaporation to the small pan evaportion in annual are about 73% and 55%, repectively, except the mountaineous area where the values are about 10% less than those. The evapotranspiration reach about 40∼60% of the annumal precipitation, but in May and October two values are nearly same. The frequencies of the monthly evaportion in class intervals in the regions are also provided.

우리나라에서 증발량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를 4대강 유역과 영동지방으로 나누어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호수면 증발량과 증발산위량을 계산하여 다른 증발량 및 강수량과 비교함으로서 지역별 물수지요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기후관측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소형증발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는 일사량이며, 다음은 기온이나 풍속 및 상대습도 등은 그 월별값을 나타낼 때 거의 기여도가 없었다. 소형증발량과 대형증발량 및 호수면증발량은 서로 그 월별값의 상관이 0.90을 상회함으로 어느 한 증발량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고, 년 소형증발계에 대한 대형증발량 및 호수면 증발량의 비는 각각 73% 및 55%정도이나, 산지에서는 그보다 약 10% 정도가 낮았다. 증발산위량은 작물생육기에 소형증발량의 약 80%에 달하나 년 평균치는 약 70% 정도이며, 강수량의 40∼60%에 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