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istopathological Study on the Intestine of Mice and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by Fibricola seoulensis

Fibricola seoulensis에 실험 감염된 마우스 및 흰쥐 소장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유병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병리학교실, 풍토병연구소)
  • Published : 1985.06.01

Abstract

A histopath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duodenum of mice and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by F. seoulensis. Each mouse was infected with 500 metacercariae and killed after 1, 2, 3 days, 1 and 2 weeks from infection. Each rat was given 1, 000 metacercariae and was examined after 1, 2 and 4 weeks from infection. The duodenal tissue sections of mice and rat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eosin, and PAS stained for the rats of 1 week group. The patholog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ucosal findings between the mice and the rats, and between the location of duodenum, 1 and 5 em distal to the pylorus. 2. Each worm embraced a villus exclusively with its foliate fore body which was inserted into the intervillous spaces. The fluke pinched villous epithelia using its oral and ventral suckers. The tribocytic organ destroyed the villous epithelia deeply up to the stroma after 3 days from infection. 3. Apparent villous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mice after 3 days from infection. Villous changes were shortening, widening, blunting or fusion. The villous stroma showed edema, microscopic hemorrhage, capillary congestion, dilatation of lymphatic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The cells were lymphocytes, plasma cells, eosinophils and giant cells. Rarely submucosal and trans:nural inflammation was encountered.

Fibricola seoulensis는 1964년에 서울에서 잡은 집쥐의 소장에서 처음으로 관찰하여 기록한 이래, 우리나라 내륙에서 집쥐사이에 널리 만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 후 인체 감염례가 보고되었고, 국내에서 뱀, 개구리, 올챙이 등이 제 2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로서 피낭유충을 보유하여 인체의 감염원임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존 훈련으로 인한 인체 감염 15례가 집단으로 관찰 보고되었다. F. seoulensis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마우스와 횐쥐의 십이지장을 위와 연결부에서 1cm및 5cm 부위에서 조직절편을 만들어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소견은 다음과 같다. 1. 십이지장의 병변에서 마우스와 횐쥐의 숙주에 다른 차이나 십이지장 내에서의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 충체는 감염 1일 째부터 점막 융모 사이에 깊숙히 파고 들어 구흡반이 기저부의 점닥 상피세포틀 물고 있었다. Tribocytic organ은 감염 3일째부터 상피세포층을 파괴하고 융모의 기질층으로 파고 들어가고 있었다. 충체의 전반부는 복측 만곡을 이용하여 융모를 감싸면서 융모 사이에 끼어 충체의 장벽 부착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점막의 병변은 감염 3일 째부터 관찰되었다. 점막 융모의 병변으로는 높이의 감소, 끝의 둔화, 부종에 의한 폭의 증가, 융모의 유착 또는 불균형 배열 등이었고, 상피세포의 결손, 위축 및 편평화가 관찰되었다. 기질충의 소견으로는 부종, 모세혈관의 충혈, 현미경적 출혈, 임파관의 확장, 염증세포 침율등이 었고, 연중세포로 형질세포, 임파구, 호산구가 관찰되었다. 염증세포가 감염 부위의 점막하층에서도 관찰되었고 근육층과 장막층에까지 파급된 경우도 관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