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Soil Suppressiveness to Cucumber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Owen

오이 덩굴쪼김병의 발병(發病)을 억제(抑制)하는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 Park, Chang-Seuk (Dept. of Plant Protection, College of Agri., Gyeongsang Nat. Univ.) ;
  • Cho, Yong-Sup (Dept. Agri. Biology, College of Agri., Seoul National Univ.)
  • 박창석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물보호학과) ;
  • 조용섭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Published : 1985.09.30

Abstract

It has been tried to find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measures involved in nature of soil suppressiveness to fusarium wilt of cncumb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Owen. Total 28 soil samples were obtained from Jinju, Haman, Namji, Milyang and Suncheon vinyl house area. The disease response of test soil was quantified in terms of DI50 value which caculated from log-probit transformation of diseases response curves. Soils designated 5 from Jinju, 7 from Suncheon, 22 from Namji were recognized as suppressive to fusarium wilt of cucumber. This suppressiveness was completely nullified after autoclave. The disease suppressiveness of tested soil did not indicate any consistency according to either chemical property or texture of soil. Conidial germination, induction and germination of chlamydospore were markedly inhibited in supprerssive soil compared to those in intermediate or conducive soils, however, mycelial lysis did not appear to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disease suppressiveness of given soil. Population density of fluorescent Pseudomonads and Bacillus spp. in the soil originated from different degree of suppressivenes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the number of lytic bacterial plaques measured by triple layer agar method was remarkably higher in suppressive soil than that in intermediate or conducive soil.

오이 덩굴쪼김병의 발병을 억제(抑制)하는 토양의 특성(特性)과 병원균(病原菌)에 대한 억제요인을 밝혀 내고자 진주, 함안, 남지, 밀양, 순천 등지의 28개 비닐하우스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공시(供試)하였다. 접종한 병원균의 농도(濃度)에 대한 공시토양의 오이 덩굴쪼김병 발병곡선(發病曲線)을 Log-Probit로 전환하여 토양의 발병억제 정도를 DI50(50%의 공시식물을 발병시킬 수 있는 병원균의 농도)으로 수량화(數量化)하여 공시토양의 발병억제 정도를 비교하였던 바, 같은 지역내에서도 채취장소에 따라서 억제정도(抑制程度)가 크게 달랐으며 진주 5, 순천 7, 남지 22 등이 발병억제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性分)이나 물리성(物理性) 등은 발병억제 능력과 일정한 상관(相關)을 나타내지 않았다. 발병억제 토양에서는 병원균(病原菌)의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와 후막포자(厚膜胞子)의 발아율(發芽率)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병원균의 균사분해(菌絲分解)는 발병억제형(發病抑制型) 또는 발병유도형(發病誘導型) 토양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균사편(菌絲片)으로부터 형성(形成)된 후막포자(厚膜胞子)의 수(數)는 발병억제형 토양에서 현저히 적었다. 토양 중의 형광성 Pseudomonads 와 Bacillus spp의 밀도는 발병억제형 토양과 유도형 토양간에 통계적유의차(統計的有意差)가 없었으나 병원균에 길항적(拮抗的)인 용균반(溶菌斑) 수(數)는 발병억제형 토양에서 현저하게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