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인의 임신.분만 및 신생아에 대한 통계적 연구

Statistical Studies on the Gestation and Delivery of the Pregnant Women and on the Neonates

  • 최중명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Choi, Joong-My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1984.10.01

초록

1982년 1월 1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 만 1년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입윈한 산모 1,930명과 신생아실에 입원된 신생아 1,961명을 대상으로 임상 통계적 관찰을 시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모의 연령은 $25{\sim}29$세군이 51.30%로 제일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20{\sim}29$세 사이가 전체의 82.4%를 보였다. 2) 산과력에 의한 산모의 분포에서 분만 및 유산의 경험이 전혀 없는 군이 45.5%로 제일 높았다. 3) 산모의 유산경험에서는 전체 산모의 36.1%에서 경험이 있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8회였다. 4) 분만형에는 자연분만이 58.1%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흡인분만으로 22.4%, 제왕절개술이 18.81%의 순이었다. 5) 재태기간의 분포는 미숙아가 7.1%, 만삭아가 87.2%, 과숙아가 5.7%를 보였다. 6) 남아 대 여아의 출생비는 1.03:1이었다. 7) 출생시 체중별 분포에서는 저체중아가 9.0%, 정상체중아가 85.5%, 과체중아가 5.5%를 보였다. 8) 신생아의 평균 신체 계측치는 체중이 남아가 3.28k 여아가 3.18kg였으며, 신장은 남아가 50.40cm, 여아가 49.77cm였고, 흉위는 남아가 32.54cm, 여아가 32.17cm, 그리고 두위는 남아가 33.49cm, 여아가 33.11cm로 계측되었다. 9) 1분 Apgar평점은 남아가 평균 7.70, 여아가 7.63을 나타냈다. 10) 신생아 황달은 전체 신생아의 50.0%에서 볼 수 있었고, 성별에 대한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미숙아군이 만삭아나 과숙아군보다 조금 높았다. 11) 신생아 질환의 발생율은 8.9%였으며, 역시 미숙아군에서 높게 발병되었고, 질병별로는 신생아 감염이 35.6%로 제일 높았다. 12) 쌍태아의 비율은 전체 신생아 중 3.1%를 차지하였으며, 단태아에 대한 비는 64.3출산 중 1예였다. 쌍태아의 남여비는 1:1.03이었다. 13) 선천성 기형의 발생 빈도는 2.4%였으며, 성 별 발생빈도는 3.18 : 1이었다. 선천성 기형을 기관별로 보면, 소화기계의 기형이 30.9%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비뇨생식기계로 25.9%였다. 14) 신생아 사망율은 11.73이었으며, 출생시 체중별 신생아 사망은 저체중아군이 전체 사망의 78.3%를 차지하였고, 재태기간별로 보면 역시 미숙아군에서 78.3%를 차지하였다. 사인별로 보면 비정상폐환기로 인한 사망이 39.1%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미숙아로 30.4%, 그리고 선천성 기형의 13.0%순이었다.

Clinical and statistical observations were performed on 1,930 cases of pregnant women who were admitted for delivery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1 year (1982) and on 1,961 cases of neonates who were born to the former.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oncerning maternal age distribution, the commonest age group was that of $25{\sim}29$ and the proportion of the age group $20{\sim}29$ was 82.4% of all. 2. Concerning obstetrical history, the proportion of the women who had no prior experience of delivery nor abortion was the highest, 45.5%. 3. Concerning abortion history, 36.1% of the women had experienced it and the mean number was 1.8. 4. Type of delivery was as follows: Spontaneous delivery; 58.1%, Vacuum extracted delivery; 22.4%, Cesarean section; 18:8%, Breech delivery; 0.7%. 5. Gestational period distribution of the neonates was as follows: Under 37 weeks (Preterm); 7.1%, Between 38 and 42 weeks (Term); 87.2%, More than 43 weeks (Postterm); 5.7%. 6. Sex ratio of male to female of the neonates was 1.03:1. 7. Birth weight distribution was as follows: Under 2,500gm.; 9.0%, Between 2,501 and 4,000 gm.; 85.5%, More than 4,001gm.; 5.5%. 8. The measured growth data of neonates were as follows: Body weight; 3.28kg. for male, 3.18kg. for female, Body height; 50.40cm for male, 49.77cm for female, Chest circumference; 32.54cm for male. 32.17cm for female, Head circumference; 33.49cm for male, 33.11cm for female. 9. The mean values of Apgar score per 1 minute were 7.70 for male and 7.63 for female. 10. The incidence rate of neonatal jaundice was 50.0% and no difference in sex respectively, but more prevalent in preform baby. 11. The incidence rate of neonatal diseases was 8.9% and the commonest disease was neonatal infection (35.6%). 12. Concerning multiple pregnancy, ratio to single births was 1 : 64.3 and the sex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 1.03. 13. The incidence rate of congenital anomaly was 2.4% and the commonest anomaly was digestive system anomaly (30.9%). 14. The neonatal mortality rate was 11.73 per 1,000 neonates, and the majority of neonatal deaths were in low birth weight and preform neonates (78.3%). 15. The causes of neonatal deaths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were abnormal ventilation (39.1%), prematurity (30.4%), congenital anomaly (13.0%) and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