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stry of the Country Rock of Eosangcheon Manganese Deposit

어상천망간광산 모암의 지구화학

  • Published : 1984.02.28

Abstract

The Ordovician limestone and dolomite was mineralized by the intrusion of quartz porphyry to form hydrothermal ore deposit along the fault shear zone, which trends $N30^{\circ}-40^{\circ}W$ dipping $60^{\circ}-70^{\circ}SW$. The primary manganese carbonates in the upper part of the deposit were oxidized to form supergene manganese ore deposits. The quartz porphyry is plotted mainly in granite region of the triangular diagram of normative composition. The granite phase contains more copper and lead, but less zinc, nickel and chromium than the granodiorite phase which occupies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quartz porphyry. The content of copper, lead, zinc, nickel and chromium in the quartz porphyry is lower compared with the granitic rocks from the copper province in the Gyeongsang basin. But the granitic rocks from the lead-zinc province has lower content of copper and nickel than the quartz porphyry. The primary distribution pattern of trace elements in the country rock of limestone and dolomite has close relation with the hydrothermal mineralization, showing anomalous or high content near the fault shear zone. The secondary distribution pattern of trace elements in soils shows close relation with the solubility of the carbonates of the elements under weathering condition.

어상천 망간광상은 조선계 홍훨리층의 돌로마이트와 삼태산층의 석회암내에 발달한 단층 파쇄대를 따라 형성된 표성산화망간광상이다. 본 산화망간광상의 하부에는 백악기 석영반암에 의하여 형성된 열수교대 내지 충진광상이 본 단충파쇄대를 따라 발달한다. 석영반암은 주성분으로 부터 계산한 노음치를 Q-K-F-PI 삼각도에 점시하면 북서단은 화강섬록암의 영역에 그리고 주암체는 화강암의 영역에 점시되고 D.I.치는 상기 북서단에서 부터 주암체쪽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이것은 마그마의 분화작용과 관계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석영반암내 암질의 차이는 미량성분에도 반영이 되어 나타나고 있는 데 북서단에서 아연, 닉켈, 크롬, 몰리브텐의 함량이 높고 주암체에서는 동, 연의 함량이 높은 현상은 산성암과 염기성암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함량의 변화와 일치한다.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와 비교해 보면 동, 연, 아연, 닉켈, 크롬의 함량은 석영반암쪽이 분지내 동광상구의 화강암류보다 낮으나 동과 닉켈의 함량은 연 아연 광상구의 화강암류보다도 높은 경향을 보인다. 석회암 및 돌로마이트로 구성된 모암은 석영반암에 의한 광화작용으로 단층파쇄대에서는 망간, 연, 아연, 동등의 함량이 현저히 높고 멀어짐에 따라 감소되는 일차후생분산형태를 보인다. 토양중 미량원소의 함량은 토양의 생성조건 및 물리화학적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모암에서의 그들이 형성하는 탄산염의 용해도와도 주목할만한 관계를 보인다. 즉 난용성의 탄산염을 형성하는 미량원소는 토양중의 함량도 낮은 경향을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