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e Inoculum Effectiveness of Korean and American Strains of Ecto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under Nursery Conditions

한국산(韓國産)과 미국산(美國産)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리기테다 소나무 파종균(播種苗)에 대한 포자접종효과(胞子接種効果) 비교(比較)

  • Received : 1984.06.20
  • Published : 1984.09.30

Abstract

Pinus rigida ${\times}$ P. taeda seedlings in a nursery was inoculated with basidiospores of Pisolithus tinctorius (Pt) either collected from Suweon, Korea or introduced from U.S.A.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spores from two different origins as mycorrhizal inocula. Nursery beds were fumigated with methyl bromide and 1g of spores was used to inoculate $1m^2$ of soil surface just before seed sowing. Seedlings inoculated with American Pt (#250 strain from Georgia, U.S.A.) were 15% taller than Korean Pt at the end of the first growing season. The seedlings from fumigation treatment only (no inoculation involved) was slightly taller (statistically unsignificant) than those with Korean Pt, but slightly smaller than those with American Pt. In a subsequent year experiment, the seedlings inoculated with American and Korean Pt after soil fumigation were 66% and 60% taller, respectively, than seedlings infected by natural fungi without soil fumigation, suggesting the dual effects of Pt and fumigation on the seedling growth. Therefore potential of Pt spores for an effective inoculum exists and selection of Pt strains which have adapted to specific local environments is needed to develop better sources of mycorrhizal inocula.

한국산(韓國産)과 미국산(美國産)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Pisolithus tinctorius : Pt)의 포자접종효과(胞子接種効果)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리기테다 소나무 파종상(播種床)에 접종(接種)을 하였다. methyl bromide로 훈증(薰蒸)된 묘포장(苗圃場)에 $1m^2$당(當)의 1g의 Pt포자(胞子)를 접종(接種)하고 파종(播種)하여 당년(當年) 가을에 묘고생장(苗高生長)을 조사(調査)하였는데 미국(美國) Pt로 접종(接種)된 묘목(苗木)은 한국(韓國) Pt로 접종(接種)된 것보다 묘고(苗高)에서 15% 더 컸으며, 훈증(薰蒸)만 하고 접종처리(接種處理)되지 않은 묘목(苗木)을 중간정도의 생장(生長)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韓國) Pt의 묘목(苗木)는 별로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다음해 실시한 볕도의 실험(實驗)에서, 토양훈증(土壤薰蒸) 후 미국(美國) Pt 혹은 韓國 Pt로 접종(接種)한 묘목(苗木)은 훈증(薰蒸)없이 자생균근균(自生菌根菌)으로 감양(感梁)된 묘목(苗木)보다 당년(當年)에 묘고(苗高)에서 각각 66%와 60% 더 컸다. 이것은 Pt 접종효과(接種効果)와 토양훈증효과(土壤薰蒸効果)가 함께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實驗)은 균근균(菌根菌) 포자(胞子)를 접종원(接種原)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미국(美國) Pt와 같이 어떤 지역(地域)에 적응한 Pt 균(菌)의 선발(選拔)이 중요하다는 것과 한국(韓國)에서도 우수한 균근균(菌根菌)을 선발(選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