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ne hundred winter wheat cultivars obtained from the world collections in Korea were planted in 1982. Stomatal frequency of flag leaf of these cultivars were measured, and among these 21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stomatal frequency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ir stomatal frequencies and other characters such as culm length, heading date and characters related to leaf. Stomatal frequency of flag leaf of 100 cultivars different significantly, ranging from 51 to 90 stomata mm$^{-2}$ for the adaxial and 35 to 65 for the abaxial surfaces of leaf. Stomatal frequency was always greater on the adaxial than on the abaxial surface. Mean ratios (adaxial/abaxial) were 1.5 for the flag leaf and 1.3 for the from second to fouth leaves. Among 21 cultivars examined, stomatal size which measured guard cell length varied from 38.5 to 46.6$\mu$ for adaxial surface and from 39.4 to 49.4$\mu$ for abaxial.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stomatal frequency and its size. Stomatal frequency decreased from flag (L$_1$) to lower leaves, progresively. Stomatal frequency on L$_1$ sheath was compared to those on L$_3$ and L$_4$ abaxial surface of leaf. More stomatal frequency on top and center of adaxial surface showed than that on basal part of a leaf but the abaxial surface resulted in reverse of adaxial one. Cultivars with high stomatal frequency on flag leaf showed higher stomatal frequency on the other leaves and sheath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matal frequency and other characters such as, culm length, heading date and chlorophyll conte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earas it revealed the negative correlation of stomatal frequency with leaf weight, leaf area and stomatal aperture. However, no relation appeared between stomatal frequency and leaf vein.
소맥 품종들에 대한 기공수의 품종간 차이, 엽각부위의 기공분석 및 기공수와 출수기, 간장및 타 광합성 관련형질들과의 관계를 구명코져 조광외 100품종을 공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엽표면의 기공수는 최저 51(/$ extrm{mm}^2$), 최고90, 이면의 최저는 35, 최고는 65개로서 표면은 이면비해 1.5배가 많았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기공수가 표면은 61~75, 이면은 41~50개인 품종들이었다. 2. 기공의 크기는 표면은 38.5~46.6$\mu$, 이면은39.4$\mu$48.0$\mu$으로 이면의 기공이 다소컸으며 기공수와 기공의 크기 간에는 표면 -0.63**, 이면 -0.48*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위엽의 기공수는 하위엽보다 많고 각 분얼 동신엽의 기공수는 지엽은 고위분얼이 그 하위엽에서는 저위분얼에서 발생한 엽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동일엽신내에서는 표면은 선단부나 중앙부가 많고 기부가 적은 반면 이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지엽 및 제2엽의 엽초에도 기공수는 상당히 존재하여 제3엽이나 제4엽이면의 기공수보다도 많았다. 6. 지엽표면의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타엽신이나 엽초에도 많았다. 7. 지엽표면의 기공수와 간장, 출수기와는 각각 0.53*, 0.51*의 상관이 있었고 엽면적당 건물중(SLW)과는 -0.48*, 엽록소함량 0.53*, 엽면적 -0.59**, 기공개도와는 -0.53* 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엽맥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간장이 크고, 출수기는 늦어지는 경향이며, 엽유의 두께나 엽면적은 작고 엽록소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