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콩의 품종별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obtained from Korean Soybean Varieties

  • 윤태헌 (한림대학 부설 임상영양연구소) ;
  • 임경자 (한림대학 부설 임상영양연구소) ;
  • 김동훈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Yoon, Tai-Heon (Clinical Nutrition Research Center, Hallym College) ;
  • Im, Kyung-Ja (Clinical Nutrition Research Center, Hallym College) ;
  • Kim, Dong-Hoo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Korea University)
  • 발행 : 1984.12.30

초록

한국산 콩의 8품종에 대하여 유기 용매로 총지방질, 유리 지방질 및 결합 지방질의 분획을 얻은 다음 각 분획의 지방질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콩의 정제 전 총지방질, 유리 지방질 및 결합 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각각 21%, 18% 그리고 3 %였다. 이상 8품종의 콩에서는 모든 분획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는 10 : 0, 12 : 0, 14 : 0, 16 : 1, 17 : 0, 20 : 0, 22 : 0 등 7 종의 지방산들을 더 검출하였다. 모든 지방질 분획에서 18 : 2의 상대적 함량은 50.1 - 59.7%로서 가장 높았는데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 국내 선발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총지방질과 유리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지방산 중 18 : 1 의 상대적 함량은 결합 지방질의 그것에 비하여 배 이상 높았고 반면에 16 : 0과 14 : 0의 상대적 함량은 각각 결합 지방질의 그것의 60%, 66%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 18 : 3 의 상대적 함량은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는 평균 9.0%, 결합 지방질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7.3%였는데 총지방질에서의 광교 품종이 11.1%로 가장 높았고 결합 지방질에서의 은대두 품종이 6.0%로 가장 낮았다. 기타의 지방산들은 지방질 분획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 18 : 1 의 상대적 함량(16.5-28.0, 18.6-28.6%)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18 : 1 의 상대적 함량이 높은 품종에서는 18 : 2 와 18 : 3 의 상대적 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pids from five local varieties and three imported varieties of soybean were determined. Total and free lipids of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chloroform-methanol mixture (2:1, v/v) and ethyl ether, respectively. The ether-extracted samples were extracted again with water saturated n-butanol to obtain bound lipids. The average percent contents of the lipid fractions were 21% (total), 18% (free), and 3.3% (bou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ven fatty acids (10:0, 12:0, 14:0, 16:0, 17:0, 20:0 and 22:0) were identified as minor fatty acids for all the varieties examined in this study. The relative contents of 18:2 were the highest (50.1-59.7%) in all the lipid fractions, and the contents in total and free lipids were in-fluenced by the local varieties. Little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ed between the total and free lipids of the samples. Total and free lipids contained more 18:1 (about 10%) and less 16:0 (about 40%) and 14:0 (about 34%) than did the bound lipids. The relative percent contents of 18:3 in the total, free and bound lipids were on average 8.9, 9.0, and 7.3 percents. The content in the total lipids of Gwanggyo varieties showed the highest level (11.1%), and in the bound lipids of Eundaedoo varieties the lowest (6.0%). In case of the total and free lipids, those varieties which showed higher relative contents of 18:1 generally had lower relative contents of 18:2 and 18:3.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