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제조시(豆腐製造時) 대두(大豆)의 수침시간(水浸時間)에 따른 수용성당류(水溶性糖類) 및 두부수율(豆腐收率)의 변화(變化)

Changes in Soluble Sugars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teep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최광수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식품가공학과) ;
  • 김순희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식품가공학과)
  • Choi, Kwang 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eongnam University) ;
  • Kim, Soon H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eongnam University)
  • 투고 : 1983.11.20
  • 발행 : 1983.12.31

초록

두부 제조시 대두 내에 함유된 장내 가스 생성성분인 raffinose등의 수용성 소당류가 두부로 적게 이행되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두의 수침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켜서 제조된 두유, 두부 및 순물 내의 이들 당류의 함량 및 두부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두의 수침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유내의 포도당 총량은 대두에 함유되었던 포도량 총량에 비하여 225, 425 및 431%씩 각각 현저히 증가하여 나타났고 그 양의 1/3량들이 각각 두부로 이행하였다. 2. 총 sucrose 량은 수침 시간을 연장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여 두유로 이행되었으나 그 대부분은 순물로 이행되었고 두부로는 1/10량만이 이동되었다. 3. maltose는 수침 시간 연장에 별 관계없이 대부분이 두유로 이행되었다가 거의 전량 순물로 이행되었다. 4. raffinose는 수침 시간이 5, 10, 24시간으로 연장됨에 따라 대두 내의 총량에 비하여 55.6, 52.5 및 46.3%씩 각각 점차 감소하여 두유로 이행되었고 두유 내에 함유된 양의 약 20%가 두부로 이행되고 대부분 순물로 이동되었다. 5. 두부수율은 침지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차츰 증가하여 각각 37.6, 44 및 47.4% 이었다.

Changes in the soluble sugar content contained in the soybean, soybean milk, soybean curd and soybean whey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reducing the introductions of soluble oligosaccharides like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which cause flatulence in human, to soybean curd from soybean by extending the soaking time of soybean. The soybean curd yields according to the extention of the soaking time were also determined. Markedly increased glucose, slightly reduced fructose and sucrose and noticeably reduced raffinose in soybean milk were observed with extended soaking time. Most of sucrose, raffinose and all of maltose were transferred to soybean whey. Gradual increase of soybean curd yields were obtained by extending soaking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