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echanisms of the Drought Resistance in Winter Barley

대맥한발저항성 기작에 관한 생리적 및 생화학적 연구

  • 최원열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김용환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Published : 198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drought on the changes of chlorophyll, protein and proline content of upper three leaves, and the grain yield components of barley plant (CV. baegdong) subjected to water stress at four stages: late vegetative, boot, anthesis early grain filling. 1. In comparison with leaf posititions in water stress, the first leaf below flag leaf maintained the highest relative turgidity,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 and showed the least proline accumulation. And, in terms of growth stages in water stress, chlorophyll was shown to be highest at anthesis stage, protein being highest at boot stage and proline being least at boot stage. 2. In boot stages, culm and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were remarkably decreased. And the weight of 1000 grains was at least level in the early grain filling stage, and also the grain size was comparatively decreased at boot and two following stages. 3. The protein content of grain by water stress, apart from early grain filling stag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stress at different growth stages. 4. The rate of sterility was particularly increased at boot and anthesis stages. 5. It was eventually concluded that the boot stage among four growth stages, and the flag leaf in 3 leaf positions were mostly damaged by water stress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영업생장말기, 수잉기, 출수개화기, 그리고 등숙초기의 네가지 주요한 생육기에 처리한 수분부족이 상위 3엽의 엽록소, 단백질유리 Proline과 상대팽압도의 변화와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과맥품종인 백동을 공시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부족처리에서 엽위별로 보면 지엽하위 1엽이 가장 높은 상대팽압도를 유지하여 엽록소와 단백질이 함량이 많았고, 유리Proline의 축적은 가장 적었다. 또한 생육기별로 보면 엽록소는 출수개화기에, 단백질은 수일기의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리Proline은 수잉기의 처리에서 그 축적이 가장 낮았다. 2. 간장, 수장, 수당입수는 수잉기의 수분부족처리에서 감소영향이 가장 컸으며 천립중은 등숙초기에서, 그리고 종실의 크기는 수잉기와 그 이후 처리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었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수분부족에 의해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등숙초기에서 약간 감소한 경향이었다. 4. 불임율은 또한 수잉기와 출수개화기의 수분부족에서 심한 증가현상을 나타냈다. 5. 전반적으로 볼 때 생육단계별로는 수잉기에서, 그리고 엽위별로는 지엽 > 지엽하위 1엽 > 지엽하위 2엽의 순으로 수분부족의 영향이 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