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onology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Practices

경종법에 변천에 따르는 이화명나방 발생상의 변동에 관한 연구

  • Song Yoo Han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ung Yoo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yun Jai Su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82.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oth occurrence of striped rice ba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relation to climatic factors, rice varieties, and cultural practices. The light trap data from 41 forecasting stations for 14 years from 1966 to 1979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time and amount of borer occurrence in conn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rice varieties, the accumulated effective day-degree and its variation for completing one generation, and the climatic factors affecting the moth occurrence. The total number of moths caught by light traps in both spring and summer generations were considerably decreased with the wide cultivation of new rice varieties. In fact, the spring moths were remarkably decreased since the new varieties were introduced in 1972. The occurrence ratio of summer moths against the preceeding spring moths was higher in the middle region and middle southern mountainous area than the other regions. Its high ratio of regions was annually expanded from the middle region to the southern region. The $50\%$ emergence dates of both generations were later in the southeastern region than in the middle regi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shown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of Chupungryeong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summer moths, the ratio of occurrence of summer moths to the preceeding spring moths, and $50\%$ emergence dates of the summer moths during the years of $1977\~1979$. The ratio of the summer moth occurrence to the preceeding gene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lune and July,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late June. The ratio of spring moth occurrence over the preceeding gene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March, respectively,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early September and March, and the average humidity in early May. The effective day-degree for one generation was in the range from 600 to 900 DD at upper threshold $30^{\circ}C$ and lower threshold $10^{\circ}C$.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산하의 41개 병새충발생예찰소에서 1966년부터 1979년까지 14년간 조사된 이화명나방의 유살자료를 기초로 기상자료, 품종의 변천, 경종법의 변동, 기지 농업기술의 변천에 따르는 이화명나방 발생양상의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금후 본 해충의 발생예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화명나방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의 연구용 Model을 구성하는 기초로 삼고자 수행하여 다음과 같을 결과를 얻었다. 1. 이화명나방의 유살수는 벼 통일계 신품종이 재배되기 전인 1971년 이전에 비해 확대보급된 1972년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1화기의 감소가 현저하였다.2. 이화명 나방의 1화기에 대한 2화기 유살량의 상대비율은 지리산 부근의 산간지와 추풍령 이북지방에서 높고 기타지방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통일계 신품종이 보급된 1972년 이후 그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3. 이화명나방의 $50\%$ 유살일은 1,2화기 공히 동남해안지방에서 늦었고 중서부로 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4. 1977년 이후 3개년간의 2화기 유살량, 2화기의 1화기에 대한 유살량의 상대비율, 그리고 2화기 $50\%$ 유살일에 있어서 추풍령을 경개로 남북간에 뚜렷한 생태적 층화현상을 보였다. 5. 2화기 증식량은 6월과 7월중의 평균기온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6월중의 강우량과도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1화기의 증식량은 전년 9,10,11월 및 동년 3월중의 온도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년 9월초순의 강우량과 동년 3월의 강우량 및 5월의 습도와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이화명나방의 1,2화기 $50\%$ 유살일까지의 유효적산오도는 상${\cdot}$하 한림계온도 $30^{\circ}\~10^{\circ}C$의 범위에서 년차변이가 $5\%$ 이내로서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하였으며 이 해충이 1새데 경과에 소요되는 적산오도는 $600\~900$ Day Degree $^{\circ}C$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