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Spacings for Urban Arterial Network

도시간선도로망(都市幹線道路網)의 적정간격(適正間隔)

  • Received : 1982.07.26
  • Published : 1982.09.30

Abstract

Development is given for an analytical approach that can investigate parameters characterizing road network geometry. A grid transportation network having a hierarchy structure is considered on a homogeneous and isotropic urban plane in which trip origins and destinations are uniformly dispersed and the trip length distribution is independent of the location of the origin. The object is to find the optimal spacings between urban arterials so as to minimize the sum of travel and construction costs, subject to the hypothesis that a trip assignment follows the Wardrop's first principle. The proposed approach is not the genera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network layout, but can be used as basic concept for generating and evaluating urban road network alternatives. Given an O-D table and cost estimates the approach is able to outline at least in a qualitative sense the optimal spacings of urban arterial roads.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도로교통망(道路交通網)의 기하구조(幾何構造)를 정의(定義)하는 파라메타를 측정(測定)할 수 있도록 해석적(解析的) 접근방법(接近方法)을 개발(開發)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설수준상(施設水準上)의 계급(階級)을 갖는 격자형(格子形)의 도로망(道路網)을 선택(選擇)하였으며 통행(通行)의 기종점(起終點)이 균등(均等)히 배치(配置)된 동시에 통행거리(通行距離)의 분포(分布)가 기점(起點)의 위치(位置)에 독립(獨立)인 균질(均質)의 도시평면(都市平面)을 가상(假想)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의 목적(目的)은 통행(通行)과 건설(建設)에 따른 도로(道路)의 총비용(總費用)을 최소화(最少化)할 수 있는 도시간선도로(都市幹線道路)의 최적간격(最適間隔)을 구(求)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통행배분(通行配分)은 Wardrop의 제(第) 1 원칙(原則)에 입각(立脚)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에서 제시(提示)된 방법(方法)은 효율적(効率的) 교통망(交通網)을 위한 일반화(一般化)된 접근(接近)의 틀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대안(代案)의 설정(設定)과 평가(評價)에서는 기본도구(基本道具)로 사용(使用)될 수 있으며 통행(通行)의 O-D 패턴과 비용(費用)의 크기가 주어지는 경우 적어도 질적(質的)인 측면(側面)에서 도시간선도로(都市幹線道路)의 최적간격(最適間隔)에 대한 개요(槪要)를 밝힐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