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Fertilizer-Managements and Growth Analysis in the Rejuvenating Bamboo Grove

회복도상(回復途上)에 있는 참대림(林)의 비배(肥培)와 생장해석(生長解析)에 관(関)한 연구(硏究)

  • Received : 1982.06.02
  • Published : 1982.06.30

Abstract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 fertilizer-managements in the rejuvenating bamboo grove were studied with Phyllostachys reticulata. The bamboo soil was the sandy loam with rich humus. In the fertilized plots, the N-fertilizer was significantly absorbed, and it was necessary to fertilize the K-fertilizer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rejuvenating after flowering,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illumination became lower. while the moisture became hig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at eye height (D) and the culm length (H) of each bamboo can be expressed as follow; $H=2.5538D^{0.5031}$ The leaf area is the major factor for the production of the bamboo grove. Therefore in the rejuvenating grove, we should refrain form pruning or felling of not -flowering bamboo. The theoretical distribution of the internodal length was obtained by the distribution curve line of the internodal length derived from the regular distribution curve line. Relatively long and even internodal length was found in the fertilized plots 2 and 4. The relation between $D^2H$ and dry weight of culm or dry weight of the above ground part were given by linear regression in both relations respectively on the logarithmic coordinates, but the propertional relation was not established in these relations. The biomass of the above ground part obtained by the allometry method showed high values in the fertilized plots 2.5 and 6. The appropriate amounts of the three elements, N, P and K for the maximum dry matter were 24.19, 15.51, 8.63 kg/10a, respectively.

참대를 재료(材料)로 하여 개화후(開花後) 회복도상(回復途上)에 있는 죽림(竹林)의 생장특성(生長特性)과 합리적(合理的)인 비배에 관(關) 해석하였다. 시험지(試驗地) 죽림(竹林) 토양(土壤)은 부식질이 풍부한 사양토였으나 시비구(施肥區)에서는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질소질 비료(肥料)의 흡수가 현저하게 왕성하였으며, 가리질 비료(肥料)의 계속저인 시비(施肥)가 필요(必要)한 상태였다. 개화후(開花後) 회복(回復)이 촉진됨에 따라 죽림(竹林)의 온도와 상대조도(相對照度)는 낮아지는 반면(反面) 온도(溫度)는 높아졌다. 참대의 목통직경(D)와 간장(幹長)(H)과는 $H=2.5538D^{0.5031}$인 관계식(關係式)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죽림(竹林)의 엽면적(葉面積)은 죽림(竹林)의 생산력(生産力)을 규제하는 요인(要人)이 되고 있으므로 비개화죽의 가지치기나 벌채는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정규분 포곡선식에서 유도한 마디길이 분포곡선식(分布曲線式)으로 각(各) 마디의 위치별 길이의 이론적(理論的)인 분포상태(分布狀態)를 얻을 수 있다. 시비(施肥) 2구(區)와 4구(區)는 비교적 길고 고른 마디길이를 가진 대나무가 많았다. 참대의 $D^2H$와 줄기의 건물중, 그리고 $D^2H$와 지상부(地上部) 건물중과의 관계(關係)는 대수그래프상에서 직선회귀를 나타냈으나 이들 사이에 비례관계는 성립되지 않았다. 상대성장법(相對成長法) 의(依)하여 추정(推定)된 대나무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시비(施肥) 2, 5, 6구(區)에서 높은 치를 보였다. 최대건물량(最大乾物量)을 얻을 수 있는 N, P, K요소의 적정 시비량(施肥量)은 각각(各各) 24.20, 15.51, 8.63kg/10a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