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in Protein Composition of Filefish Muscle during Post-Mortem Lapse

말쥐치육의 사후경과에 따른 단백질조성의 변화

  • PYEUN Jae-Hye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 NAM Taek-Je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변재흥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남택정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1.03.01

Abstract

Protein compositions of filefish (Navoden modestus) skeletal muscle and their changes in postmortem with reference to freshness kept at $0^{\circ}C$ were investigated. The muscle protein was approximately composed of $31\%\;sarcoplasmic,\;55\%$ myofibrillar, $10\%$residual intracellular, and $4\%$stroma protein. The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 decreased while the residual intracellular protein increased with the decline of freshness during post-mortem lapse. In the analysis of electrophoretograms and its densitograms, the myofibrillar protein resembled to other fishes in protein composition: $70\%$ actin and myosin, $20\%$ regulatory proteins, and $10\%$ unknown proteins. And most of the residual intracellular protein was estimated as myofibrillar protein. Troponin T, troponin C and myosin light chain 2 of the myofibrillar protein constituent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protein from the at-death muscla was similar to those of other fishes except that tryptophan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were scant. Proline and cysteine were remarkably decreased whereas leucine, isoleucine and phenylalanine were slightly increased in the protein from the muscle lapsed of 18 days.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lanine, glycine, lysine, and especially taurine were rich in the at-death muscle. The muscle lapsed of 18 days showed an increase of taurine, histidine, valine and methionine, and a decrease of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leucine, and isoleucine.

말쥐치 등육 골낙근을 $0^{\circ}C$로 유지하면서 사후경과중 선도의 변화에 따라 단백질의 조성과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말쥐치의 육은 약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이 단백질은 근원질단백질 $31\%$, 근원섬유단백질 $55\%$, 세포내잔사단백질 $10\%$, 그리고 기질단백질 $4\%$로 구성되어 있었다. 근원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사후선도의 변화와 더불어 감소하여 갔고,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관계를 보였다. 근원섬유단백질과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전기영동과 densitometr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근원섬유단백질의 약 $70\%$가 액틴과 미요신, 약 $20\%$가 조절단백질, 그리고 $10\%$전후의 미지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포내잔사단백질은 그 대부분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편, 사후경과와 더불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중 트로포닌-T, 트로포닌-C 및 미요신의 light chain 2는 각각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죽인 직후의 말쥐치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른 어육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트?토판과 함황아미노산은 보다 부족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양에비추어 부패초기에 해당하는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프롤린과 시스테인이 두드러지게 줄었으며, 로이신과 이소로이신 및 페닐알라닌은 조금 증가하였다. 말쥐치육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타우린이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알라닌과 글리신 및 리신도 비교적 많았다.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타우린, 히스티딘, 발린 및 메치오닌은 증가하였으나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스레오닌, 세린, 로이신 및 이소로이신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