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echanism of Nonastringency and Production of Tannin in Persimmon Fruits -II. Microscopic Observation of Tannin Cells in Persimmon Fruits during Growth-

감과실(果實)의 탄닌물질(物質)의 생성(生成) 및 탈삽기구(脫澁機構)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 : 탄닌 세포(細胞)의 현미경적 관찰-

  • Sohn, Tae-Hwa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eong, Jong-Hwa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Milyang Agricultural and Sericultural Junior College)
  • 손태화 (경북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성종환 (밀양농잠전문대학 식품제조과)
  • Published : 1981.12.30

Abstract

In order to clarify the removal of astringency in persimmon fruits (Diospyros koki L.) and its mechanism, a comparative histology of tannin cells in tile cultivars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s (Sangju Dungsi. Daegu Bansi. Cheongdo Bansi) and a sweet persimmon fruit (Fuyu) was observed. Tannin cells were widespread in all fruits tissue expert for tissue of ovule before full blossom. The epidermal cells of ovary. flower and calyx consist of tannin cell. Arrangement of tannin cells has radiated type toward the upper directions in the calyx. The major part of seed coat consisted of tannin cells. The epidermal cells of persimmon fruits were consisted of small tannin cells, and the inner part of epicarp of the astringent persimmon was consisted of stone cells, but the sweet persimmon was consisted of parenchymatous cells. It was suggested that differantiation of tannin cell In persimmon fruits occured until about the middle of August. Some tannin cells of matured astringent persimmon fruits was coagulated and wall of tannin cell produced protuberance, and most of tannin cells of matured sweet persimmon fruits was coagulated or ruptured.

감과실(果實)(Diospyros kaki L.)의 탈삽기구(脫澁機構) 및 탄닌 물질(物質)의 생성(生成)에 대한 조사(調査)의 일환(一環)으로 단감인 부유(富有)와 떫은감인 청도반시(淸道盤?), 대구반시(大邱盤?), 상주반시(尙州盤?) 등(等) 4품종(品種)을 사용하여 성장(成長)중(中)의 탄닌 세포(細胞)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전(開花前)부터 탄닌 세포(細胞)는 자방내(子房內)에 널리 존재(存在)하였으나, 배주(胚珠)의 초기조직(初期組織) 내부(內部)에는 탄닌 세포(細胞)가 존재하지 않았다. 2. 자방(子房), 꽃받침, 과실(果實) 등(等)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모두 탄닌 세포(細胞)로 이루어졌다. 3. 탄닌 세포(細胞)의 배열(配列)은 꼭지 부위(部位)에서 정부(頂部)쪽을 향한 방사형(放射型)이었다. 4. 떫은감의 표피내부(表皮內部)는 석세포(石細胞)인 반면, 단감에서는 적은 일반세포(一般細胞)로 이루어져 있었다. 5. 탄닌 세포(細胞)는 몇 개씩 모여서 하나의 군(群)을 이루었다. 6. 단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구형(球型)인 반면 떫은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타원형에 가까왔다. 7. 탄닌 세포(細胞)의 분포는 단감, 떫은감 모두 유사(類似)하였으나 밀도(密度)는 떫은감이 높았으며 크기도 컸다. 8. 성숙(成熟)한 단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응고(凝固)되어 있었고 일부(一部)는 파열(破裂)되어 있었다. 9. 떫은감의 탄닌은 세포(細胞)는 성숙시(成熟時) 세포벽(細胞壁)에 많은 돌기(突起)가 생성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