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Gland in the Asiatic Land Salamander, Hynobius Leechi II. Granular Gland

도룡뇽 (Hynobius leechi) 피부선의 미세구조: II. 과립선

  • Kim, Han-Hwa (Department of B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Noh, Yong-Tai (Department of B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Chung, Young-Wha (Department of B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Chi, Young-Duk (Department of B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김한화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물학교실) ;
  • 노용태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물학교실) ;
  • 정영화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물학교실) ;
  • 지영득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80.10.01

Abstract

The ultrastructures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siatic land salamander (Hynobius leechi) skin were observed by means of electron micros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anular gland of the asiatic land salamander skin consisted of a body of gland and a duct. The body of the granular gland consisted of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The duct of the granular gland consisted of the keratinocytes. 2.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in the asiatic land salamander skin were divided into the dark cell and the light cells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n density of the cytoplasm. 3.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granular glands were round or oval in form and were divided into the various granules, showing the secretory granules showing weak electron density had the parts showing strong electron density near the granular membrane. 4. It is supposed that showing the different electron densities of the granules in a glandular epithelial cell is due to different mature stages and to different level of water absorption, and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e granules showing different electron densities are identical.

도룡뇽 (Hynobius leechi Boulenger)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룡뇽의 피부과립선은 선체부와 분비관으로 구성되며, 선체부는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 분비관은 각질세포들로 구성되었다. 2.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암세포와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낮은 명세포가 관찰되었다. 3. 피부과립선의 분비과립은 구형 또는 나형이었고,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그리고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중에는 과립막 인접부에 부분적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4. 피부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성숙단계 및 성숙된 과립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농도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