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흡광법에 의한 고속도로변 경작지토양중의 납함량분석에 관한 연구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Lead (Pb) in the Soils of Cropping Areas Near Highways

  • 발행 : 1979.03.01

초록

자동차의 배기중에 함량된 납에 의한 우리나라 고속도로변 농경지에 축적된 납의 함유량을 파악코져, 고속도로와의 방향과 거리 및 토심별로 밭과 논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원자흡광법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통량(10,000 대/일)이 많은 서울매표소와 경기${\cdot}$죽전에서는 도로변에 동${\cdot}$서로 $3\~5m$까지 밭 토양에서 납의 축적현상을 나타냈으며, 그 수준은 $11\~110\;ppm$정도 이었고, 도로변에 가까울수록 납의 함유량이 많았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축적되지 않았다. 2. 교통량(5,000 대/일)이 다소 많은 대전${\cdot}$회덕 지방은 동쭉 1m 지점에서만 약간의 축적된 경향 (16.3ppm)을 보였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아직 그 축적은 인정되지 않았다. 3. 논${\cdot}$밭을 부문하고 경부선의 대전 이남과 호남 및 남해고속도로의 기지 지역에 있어서는 김해${\cdot}$동래 지구(약 12 ppm)를 제외하고는 납의 축적경향은 없었다. 4. 토심별로는 대부분 표토층$(0\~5cm)$에 납이 축적되어 있고, 토심으로의 납의 이전은 인정하기 어려웠다. 5. 시료채취지점의 고속도로와의 방위에 있어서는 경기${\cdot}$죽전에 있어서 동${\cdot}$서간에 약 4배의 축적량의 차이를 나타냈을 뿐이며, 그 밖의 지점에 있어서는 대차가 없고 일관성있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6. 농경지의 대부분은 고속도로 양변의 15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여 있고, 또한 남의 함유량은 최고 5 ppm 정도로서 자연부존량의 수준에 불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lead which is exhausted with gas from running automobiles and is considered to accumulate in cropping lands.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uplands and paddy fields with different distance from highways. aton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was applied for analysis.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areas of Seoul toll gate and Jookjeon, Gyeonggi province, soils of fields within $3\~5$ meters from highway appeared to contain $11\~110\;ppm$ of lead. On the other hand, soils outside of $3\~5$ meters showed only natural background level of lead. 2.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lead in Hwoedeuk area (Choong-nam p개vince) was 16.3 ppm and those of Kimhae and Dongrae areas were about 12 ppm. Low concentration of $1\~4\;ppm$ was observed in the areas, south of Daejeon along the Honam and Namhae highways. 3. Lead seemed to accumulate in the soil surface within the range of 0 to 5 centimeters which anable to expect little translocation to deeper layer of the soil. 4. lost of arable lands locates at least 15 meters apart from highways so that lead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expected. No damage could be speculated with the present concentration of lead analyzed. This does not deny the necessity to the long term dectect of the possible polluta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