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微生物) 살충제(殺蟲劑)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제화(製劑化)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icrobial Insecticide -(With special emphasis on formulation)-

  • 이재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기철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도영 (고려인삼연구소 제조부)
  • Lee, Jae-Koo (Dept. of Agr.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 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Ki-Cheol (Dept. of Agr.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 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Young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 발행 : 1979.06.30

초록

Bacillus thuringiensis Berliner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사공장에서 폐기되는 자견수의 냉동 건조물 중에는 조단백질 함량이 51.825%가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무기염류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견수는 본 세균 배양의 좋은 영양원이 될 수 있다. (2) 현수성으로 보아 가장 양호한 제제는 F-5로서 그 조성은 Cell-Spore-Crystal 혼합을 0.2 g, 200-mesh Kaolin 25 g, New Kalgen NX-150, 2.59 그리고 glycerine 2.5 g을 증류수 8ml의 비율로 혼합하여 80 mesh 입제로 한 것이다. (3) F-5, F-6, 및 F-7의 조성중 다른 것은 전부 같고 다만 Cell-Spore-Crystal 혼합들의 함량이 F-5에서는 0.2 g, F-6에서는 0.4 g, F-7에서는 0.6 g인 점이 다르므로 이들 제제의 물리성은 거의 동일하다. (4) F-5, F-6 및 F-7은 5% 농도에서 무궁화잎 밤나방, 송충, 회양목 명나방 유충 등에 우수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5) 제제의 일 성분으로 $NaHCO_3$를 첨가한 F-8과 F-9는 무궁화잎 밤나방과 송충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 $NaHCO_3$를 함유하지 않은 F-6 보다 현저한 독성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6) $(NH_4)_2SO_4$ 0.2%와 glucose 0.8%를 자견수에 용해하여 pH를 7.05로 조정한 배지인 M-3을 사용하여 aeration 시키면서 96시간 배양하였을때 포자수는 최고 $2.97{\times}10^9/ml$에 도달하였다. (7) F-6은 제제후 70일 동안 실온에서 저장시 무궁화잎 밤나방과 송충에 대한 독성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냉암소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8) F-6은 야외 살포로 대추나무의 노랑쐐기나방 회양목 명나방유충, 장미의 찔레수염 진딧물 등의 방제에 좋은 효과를 보였다.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microbial insecticide utilizing Bacillus thuringiensis Berliner, research was don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the freeze-dried matter of the cocoon-cooked water discarded from the filature contains much crude protein(51.825%) and a lot of inorganic salts, it can make a good nutrition source for the culture cf B. thuringiensis Berliner. 2) Based on the suspensibility, formula F-5 turned out to be the most suitable for insecticidal use. Its composition includes 0.2 g of the cell-spore-crystal mixture, 25 g of 200-mesh kaolin, 2.5 g of New Kalgen-NX-150, and 2.5 g of glycerine admixed with 8 ml of distilled water and granulated in 80-mesh size. 3) All the components of F-5, F-6 and F-7 are identical except that the amounts of cell-spore-crystal mixture of F-5, F-6, and F-7 are 0.2 g, 0.4 g, and 0.6 g, respectively. Accordingly,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almost all the same. 4) Formulas F-5, F-6, and F-7 exhibited an excellent toxicity to Anomis mesogona Walker,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and Margaronia perspectalis Walker at the concentration of 5%. 5) Formulas F-8 and F-9 which contain $NaHCO_3$ as one of their components showed a remarkably reduced toxicity to Anomis mesogona Walker and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than F-6 which does not contain $NaHCO_3$. 6) A maximum of $2.97{\times}10^9$ spores per ml was obtained by incubating B. thuringiensis in M-3 which has a pH of 7.05 and comprises 0.2% of ammonium sulphate and 0.8% of glucose dissolved in the cocoon-cooked water, with aeration for 96 hours. 7) Formula F-6 exhibited a somewhat reduced toxicity to Anomis mesogona Walker and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70 days after formulation and it is desirable to keep it in a dark and cold place. 8) In held applications, formula F-6 showed a good activity in controlling Monema flavescens Walker. Margaronia perspectalis Walker, and Macrosiphum ibarae Matsumur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