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ou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farmer's field conditions to determine economic threshold levels of major rice pests aad attempt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secticide applications. In the experiments were included check treatments, insecticide schedules representing the official recommendations to farmers, and several corrective treatments. A careful record was kept of insect pest densities and disease incidence. i) In the north at Suweon and Icheon where Chilo suppresalis. (Walk.), the striped rice borer, was active in the first generation, no significant yield differences were obtained between plots receiving several insecticide applications and those left totally unprotected. The mean yields were high (5.2-7.6t/ha). ii) First generation borer activity rising to $8.6\%$ injured tillers was below the economic threshold since no yield reduction was recorded in either japonica varieties or the high-yielding Tongil variety. iii) Evidence was obtained thst berer damage was made good by replacement of infested tillers (compensatory growth), C. suppressalis populations were always low in the second generation. iv)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t Suweon and Icheon do not justify the present official recommendations of 6-7 pesticide applications. v) further south at Iri a substantial yield reduction occurred due to an early outbreak of stripe disease transmitted by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 mean of 1-2 individuals/hill was recorded immediately after transplanting. C. suppressalis probably contributed to this yield reduction. vi) Several applications against the vector failed to prevent the rapid spread of stripe to the susceptible variety in the Iri experiment: in surrounding fields the resistant Tonsil varivety was ralatively unaffected. vii) Pests of lesser importance were Nephotettix cinctieps (Uhler), Nilaparvata lugens (Stil), Sogatella furcifera (Horv..), and leaf miners.
주요 벼 해충의 경제적 피해 수준을 결정하고 약제살포 회수의 감소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원 등 4개 지역의 농가 포장 조건하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살포구 관행방제구 및 2.3의 관행 방제를 수정한 처리구를 두었으며, 해충 밀도 및 병의 발생에 대해서도 상세한 기록을 행하였다. I) 이화명충의 제1세대가 활발한 중부지방의 수원과 이천의 경우 수회 약제 살포구와 무살포구 사이의 수량의 차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평균 수량은 높아서 5.2-7.6t/ha였다. ii) 일본형 품종이나 다수성 품종인 통일 어느 품종에서도 수량의 감소를 인정할 수 없었던 고로 피해경율이 $8.6\%$까지 상승한 제1세대 유충의 가해행위는 경제적 피해 수준 이하였다. iii) 유충에 의한 피해는 피해경이 대체되는 보상생장에 의해서 호전된다는 증거가 얻어졌다. 이화명충의 제2세대 개체군은 언제나 낮았다. iv) 수원과 이천에서 얻어진 결과를 볼 때 현재의 관행 약제 살포 회수 6-7회는 합당하지 않다. v) 남부지방인 이리의 경우 애멸구에 의한 줄무늬잎 마름병이 초기에 대발생하여 이로 인해 실질적인 수량의 감소가 일어났다. 이앙 직후에 애멸구의 평균 밀도는 주당 1-2마리였다. 이화명충도 이러한 수량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vi) 이리에서 애멸구에 대해 수회의 약제 살포를 행하였으나 감수성 품종에서 급속하게 번져가는 줄무늬 잎마름병을 막을 수 없었으며, 그 주변 포장의 저항성 품종인 통일은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았다. vii) 끝동매미충, 벼멸구, 횐등멸구 및 벼잎굴파리는 중요성이 적은 해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