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OF DIMETHYLAMINE IN THE COURSE OF ANCHOVY FERMENTATION WITH SALT

멸치 젓갈 숙성중의 dimethylamine의 생성

  • Published : 1976.12.01

Abstract

Dimethylamine(DMA) is known as an origin compound of dimethylnitrosamine which is responsible for carcinogenesis. It has been also reported that relatively large amount of DMA is distributed in fish muscle, particularly in salted and fermented fish. Tn this experiment, the degradation products of protein and trimethylaminoxide(TMAO) by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17^{\circ}C\;and\;27^{\circ}C$ in the course of anchovy fermentation with $22\%$ of salt were analysed, and the formation of DMA was discussed. Protein-N decreased through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ill the conditions of $17^{\circ}C\;and\;27^{\circ}C$ whereas amino-N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decrease of protein-N, and the increasing rate of amino-N was remarkably faster at $27^{\circ}C$ than at $17^{\circ}C$. Trimethylamine(TMA)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MAO till 69th day of fermentation, hereafter tended to slightly decrease. It seemed that the difference in fermentation temperature affects on the formation of DMA and obviously on the variation of TMAO. Both DMA and TMA content were inversely varied with the TMAO content. Correlation coefficient of DMA to TMAO in quantitative variation was shown -0.811 at $17^{\circ}C$ and -0.865 at $27^{\circ}C$ of fermentation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rmation of DMA during fermentation of anchovy was attributed to the degradation of TMAO showing, contributorial ratio of 0.66 at $17^{\circ}C$ and 0.75 at $27^{\circ}C$ respectively.

어류가공품중에 분포하는 2급 amino의 생성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서, 멸치를 $22\%$의 식염을 첨가하여 $17^{\circ}C$$27^{\circ}C$의 온도별로 열성시키면서 숙성 일정별로 단백질과 TMAO의 분해생성물을 분석하여 2급 amino의 생성과 관계있는 몇가지 실험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단백질 질소는 $17^{\circ}C$$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전숙성기간을 통하여 일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태 질소의 감소에 반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미노태 질소의 증가속도는 $27^{\circ}C$에서 숙성한 것이 $17^{\circ}C$에서 숙성한 것에 비하여 훨씬빨랐다. TMA는 TMAO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여 갔으며 숙성 6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온도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MA는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숙성 69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27^{\circ}C$에서 열성시킨 것은 숙성 5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DMA는 TMAO의 양적변화에 비추어,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11, 그리고 $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65로서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멸치 젓갈 숙성중의 DMA의 생성원인은 그 기여율이 $17^{\circ}C$일 때 $r^2\fallingdotseq0.75$, TMAO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