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II)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Myong-Ju, Ul-Jin, and Suweon Populations-

소나무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명주(溟州), 울진(蔚珍), 수원집단(水原集團)의 침엽(針葉) 및 재질형질(材質形質)-

  • Yim, Kyong Bi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Ki Wo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76.06.01
  • Published : 1976.09.30

Abstract

For study on the variation of natural stand, three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ere selected at samsanri Yongogmyun Myongjugun Kangwondo (4), Hawonri seomyun Uljingun Kyongbuk (5), and Emogdong Suweon Kyongkido (6) successibely after the selection of three population in 1974. Twenty individual trees were chosen from each popula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es, needle and wood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on the trees.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Serration density, resin canal number in needl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stomata row number in the both sides of needle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population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alculated among individual trees in a population regarding any character of needles. 2. Ail population had high correlation on the stomata row between abaxial and adaxial side of needle. 3. The Myongjungun population showed the highest value of resin duct index, which means the population had the highest degree of hybrid character. 4. The ring segment width and summerwood percentage in the wood propert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yet specific gravity and tracheid length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mong 3 populations. But all the valu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mong the ring segments within population. 5. The ring segment width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tree age but summerwood percentage, specific gravity, tracheid length increased slowly to the middle age of tree and then decreased slowly after the age. But the patterns of decrease or increase were some different by population. 6. The values of Uljingun population were generally high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n all the needle characters. And the values of Suweon population were always the highest and those of Myongjugun population the lowest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n all the wood properties.

소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의 변이(變異)를 연구하기 위해 1974년도(年度)의 3개집단선발(個集團選拔)에 이어서 소나무 3개집단(個集團)이 강원도(江原道) 명주군(溟州群) 연곡면(連谷面) 삼산리(三山里)(4), 경북(慶北) 울진군(蔚珍郡) 서면(西面) 하원리(下院里)(5),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이목동(梨木洞)(6)에서 선발(選拔)되었다. 각(各) 집단별(集團別)로 20개체(個體)의 임목(林木)이 선정되어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 그리고 침엽(針葉) 및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이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침엽(針葉)의 특성중(特性中)에서 거치밀도(鋸齒密度), 수지도수(樹脂道數)는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를 갖지 않았지만 엽(葉) 양면(兩面)의 기공열(氣孔列)은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나 개체간(個體間)에는 모든 침엽(針葉)의 특성(特性)에서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지적(指摘)될 수 있었다. 2. 어느 집단(集團)을 막론하고 기공열(氣孔列)에 있어서는 잎의 복면(腹面)과 배면간(背面間)에 높은 상관(相關)을 지니고 있었다. 3. 연주군(溟州郡) 집단(集團)이 수지도(樹脂道) 지수(指數)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것은 그 집단(集團)이 잡종성(雜種性)을 지녔다는 것을 뜻한다. 4.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에서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은 집단간(集團間)에 통계학상(統計學上) 차이(差異)를 보였지만 비중(比重)과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었다. 그러나 한 집단내(集團內)에 있어서는 모든 값이 연륜구분간(年輪區分間)에 통계학적(統計學的)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5. 연륜폭(年輪幅)은 수령증가(樹令增加)에 따라 급(急)히 감소(減少)했지만 추재율(秋材率), 비중(比重),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장령기(壯令期)까지는 서서(徐徐)히 증가(增加)하고 그 후(後)에 점차로 감소(減少)하였다. 그렇지만 감소(減少)하는 증가(增加)하는 양상(樣相)은 집단(集團)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다. 6. 모든 침엽특성(針葉特性)에 의(義)한 변이계수(變異係數)에서 울진집단(蔚珍集團)의 값이 대체로 높았다. 그리고 모든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에 의(義)한 변이계수(變異係數)에서 수원집단(水原集團)의 값이 언제나 가장 높았고 명주군집단(溟洲郡集團)의 값은 가장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