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VC Mixed Silver Iodide Membrane Electrode

PVC 를 섞은 요오드화은 막전극에 관한 연구

  • 권영순 (고려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과) ;
  • 김정희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박기채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Published : 1976.12.30

Abstract

The PVC mixed silver iodide pellet was prepared by means of the Infrared Pellet presser and the pellet was used as an indicating membrane electrode, to measure the potentials for various silver ion activities, ranging from $10^{-1}$ to $10^{-6}$ M. The potential responses to silver ion activities were linear and the slope was much close to Nernstian relation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pure silver iodide pellet membrane electrode and the PVC coated silver iodide pellet membrane electrode. The mechanical property and chemical durability of this electrode were found much better than the others. This electrod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ponse to the other except silver ion, but had good response to halide ions, i.e., iodide, chloride, bromide and cyanide ions, in the concentration range $10^{-1}$ to $10^{-6}$ M. This electrode could be used as an indicating electrode in potentiometric titrations of single halide ion and also halide mixture with standard solution of silver nitrate.

AgI 가루에 PVC를 섞어 Infrared Pellet Presser로 눌러 만든 Pellet을 이용하여 막전극을 만들고 이것을 지시전극으로 사용하여 $Ag^+$의 활동도에 대한 전위를 측정하였다. 이 막전극의 특성을 순수한 AgI pellet와 PVC로 표면을 입힌 AgI pellet을 이용한 두 막전극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이들 막전극의 은이온 활동도에 대한 감응은 은이온의 농도가 $10^{-1}$M에서 $10^{-6}$M 까지의 범위에서 좋은 직선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AgI가루에 PVC를 섞어서 만든 막전극이 Nernstian 기울기에 가장 잘 맞고 견고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전극은 은이온 이와의 다른 양이온에 대하여는 거의 감응하지 않고 할로겐화이온, 즉$I^-,CI^-,Br^-,CN^-$에 대한 감응도는 $10^{-1}$M에서 $10^{-6}$M까지 직선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전극은 단일 할로겐화이온 뿐 아니라 할로겐화이온의 혼합시료 용액의 전위차 은법적정에 지시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Keywords

References

  1. Chem. Ed. v.51 no.6 R.B. Fischer
  2. Chemistey v.46 no.6 J.P. Sapio;R.D. Braun
  3. Z. Biol. v.47 M. Cremer
  4. Biophys. J. v.2 G. Eisenman
  5. Science v.126 G. Eisenman(et al.)
  6. Anal. Chem. v.46 no.3 R. Jasinski;I. Trachtenberg;D. Andrychuk
  7. Analytica Chimica Acta v.80 D.J. Crombie;G.J. Moody;J.D.R. Thomas
  8. Anal. Chem. v.38 no.8 G.A. Rechnitz;M.R. Kresz;S.B. Zamochnick
  9. Anal Chem. v.43 no.12 B. Fleet;H. Storp
  10. Anal. Chem. v.46 no.2 P.W. Alexander;G.A. Rechnitz
  11. Anal. Chem. v.45 no.4 G.P. Bound;B. Fleet;H. Storp
  12. Chem. Ed. v.51 no.8 A. Craags;C.J Moody;J.D.R. Thomas
  13. Anal. Chem. v.45 no.3 M. Mascini
  14. Anal. Chem. v.46 no.3 M. Mascini;A. Napoli
  15. Anal. Chem. v.41 no.10 K. Srinivasan;G.A. Rechn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