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Transovarial Transmission of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with Reference to the Phenomena of Induction, Interference and Virulence Enhancement in the Silkworm, Bombyx mori

가잠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유발, 간섭 및 병원성 증진현상에 의한 경난전달에 관한 연구

  • 임종성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 Published : 1974.12.01

Abstract

Transovarial transmission of cytoplamic polyhedrosis virus in the silkworm was studied by observing the phenomena of induction, interference and virulence enhancement in the larvae from moths inoculated with hexagonal Polyhedra of cytoplasmic polythedrosis virus.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ings. 1. The effect of inoculation with tetragonal polyhedra of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on the rate of infective induction with hexagonal polyhedron virus and with hexagonal plus tetragonal polyhedron viruses in the larvae from moths infected with hexagonal polyhedron virus was studied. Infection rate was higher by 40 to 60 percent in the larvae from infected female group than in tile larvae from noninfected female group. 2. In the studies of the effect of formalin-feeding on the induction of infection with hexagonal polyhedron virus, infection rate was higher by 40 percent in the larvae from infected female group than in the larvae from noninfected femal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ection rates between the two formalin-concentration groups. 3. The effect of cold treatment on the induction of infection with hexagonal polyhedron virus was studied. Infection rate was higher by 50 percent in the larvae from infected female group than ill the larvae from noninfected female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infection rates of the two treatment groups of 12 and 48 hours. 4. The phenomena of induction and interference were studied by observing rate of infection with hexagonal polyhedron virus induced by the inoculation with tetragonal polyhedron virus. The degree of interference of primary hexagonal polyhedron virus by secondary tetragonal Ployhedron virus was increased as the dosage of secondary virus was increased. At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8/m1 of the secondary virus, the degree of interference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infection with tetragonal polyhedron virus at low concentration was interfered by the primary virus. At the concentration of 1N10f/m1 of tetragonal polyhedron virus, however, the rate of infection with tetragonal polyhedron virus was increased sharply, which is still lower by 30 percent than that of control group. 5. In the studies of induction and virulence enhancement, based on the 1ate of mixed infection with hexagonal and tetragonal polyhedron viruses, the highest difference of infection rat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ceeded 40 perc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etragonal polyhedron virus was 1${\times}$10$\^$7/m1. However, the infection rate of control group was not affected by concentrations of tetragonal polyhedron virus.

가잠에 있어서의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경난전달감락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각형 세포직다각체 바이러스를 전대잠에 접종하고 이에 감염된 자아의 교배조와 비감염된 자아의 교배에서 얻어진 대잠에 있어 유발현상의 차이, 유발.간섭현상의 차이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경난전달감염적 가능성을 밝혔다. 여기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형 바이러스인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의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유발실험에서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육각형의 단일감염과 육각형과 사각형의 혼합감염을 모두 기준삼을 때 감염자아겨배군에서는 대조군보다 40내지 60%가 더 높은 유발정도를 보였다. 2. formalin 첨식에 의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우발실험에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에 의한 유발만을 기준 삼을 때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햐여 40%의 높은 유발정도를 보였다. 이 실험에서 첨식한 2 또는 3%의 formalin농도는 우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가져오지 못했다. 3. 냉장처리에 의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유발실험에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의한 유발만을 기준삼을 때 실험군 대조군에 비하여 약 50%의 높은 유발정도를 보였다. 이 실험에서 적용한 12 또는 24시간의 첨식처리군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유발.간섭현상에 관한 실험에서 유발과 간섭되는 바이러스를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국한시켰을 때 이차 바이러스인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일차 바이러스인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 량이 1$\times$$10^{8}$/ml에 이르러서는 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에 놓이게 되었다. 한편 유발과 간섭되는 바이러스를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국한시켰을 때는 얕은 농도의 이차 바이러스는 유발된 일차 바이러스에 의하여 간섭받았고, 이차 바이러스 량이 1$\times$$10^{7}$ /ml에서부터 이차 바이러스에 감염된 가잠이 증가되었으나 대조군보다는 약 30%가 미달되는 감염률을 보였다. 5. 유발.병원성 증진현상에 간한 실험에서 유발과 증진되는 바이러스를 사각형과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혼합감염 된것에 국한시켜 보면 이차 바이러스인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농도가 높아져서 1$\times$$10^{7}$ /ml에 이르면 혼합감염은 최고도에 이르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는 40%를 넘게 되었다. 여기에서 대조군은 이차 바이러스의 농도과 관계없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사사 : 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시종 지도해 주신 김낙정 교수님, 최병희 교수님 그리고 박광의 교수님께 심심한 사의를 드리며 본 논문이 완성될 수 있도록 노고를 아끼지 않고 지도하여주신 전윤성 교수님과 정길택 교수님께 또한 심심한 사의를 드립니다. 그리고 본 논문을 위한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 전자현미경사용에 적극 협조해 주신 이순형 학형과 누에 사육시험을 도와 준 금근영, 임대준군에게 아울러 감사드립니다. 본 실험에 공시한 세식질다각체 바이러스를 분양하여 주신 동경대학 농학부 도부인 교수님께 또한 감사드립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