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ubmergency due to Heavy Rains on the Yield of Paddy

수도의 관수피해에 관한 조사연구

  • Published : 1972.12.01

Abstract

There was a concentrated heavy rain resulted in 450mm of precipitation from Aug. 18 and 19, 1972. Almost all the paddy grown in the main plain areas of KimPo, Bu Cheon and Pyong Taek(N. L. $37^{\circ}$00'98'$-37^{\circ}$30'56", Long. $126^{\circ}$45'99"$-127^{\circ}$55'92"E) have been damaged of submergency.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degrees of submergency in different growth stages of paddy, on the yield of paddy, rates of fertilization, maturity and degree of heading have been observed, and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paddy was damaged due to submergency at the heading stage, a) on the basis of normal paddy, the yield of paddy may be expected about 67,57,40,9 and 6% with the submerged periods of 0.5, 1. 0, 2.0, 3.0 and 4.0 days, respectively, and a significant-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iods of submergency and the yields. b) As in the yield of paddy, rapid decreases in the rates of fertilizations and maturities of paddy were found as the submerged periods are increased. When the submerged periods are 0.5, 1.0, 2.0, 3.0 and 4.0 days, the corresponding rates of fertilizations and maturities observed are 89 and 88,83 and 78,52 and 40,24 and 19, and 12 and 9%,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negrative correlations. c) Considerable decreases of the degree of heading were found as the submerged periods are increased. resulted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t 1% level between the degree of heading and submerged periods. (2) When the paddy plants were under submergency just before heading, the damage was found to be less than that at heading stage. The yields were 86,82,60,36 and 10%, as compared with the normal yield, with 0.5, 1.0, 2.0, 3.0 and 4.0 days of the submerged periods. (3) When the paddy was under the submergency at the mid-stage of head sprouting, its damage was severer than that of just before heading stage. The yields of paddy under the different submerged periods, 0.5, 1.0, 2.0, 3.0 and 4.0 days, were 79, 64, 34 and 6%, respectively, of the normal yields. normal yields.

1972년 8월 18-19일의 30시간 사이에 있었던 450mm여의 호우 피해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평야인 김포, 부천, 평택(북위 $370^{\circ}$00'98"$-37^{\circ}$30'56"' 동경 $126^{\circ}$45'99"$-127^{\circ}$55'92")에 재배하고 있는 수도는 대부분이 관수의 피해를 입었다. 이 지역에서 수도의 관수 일수별, 생육단계별 수량, 임실율, 등숙비율 및 출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의 관수피해 정도는 1) 무관수를 표준으로 하여 수량은 0.5일간 관수의 경우는 67%, 1일간은 57%, 2일간은 40%, 3일간은 9%, 4일간은 6%밖에 기득되지 않으며 관수일수가 늘어남에 따른 수량은 1%수준에서 유의한 부(일)상관을 보였다. 2) 임실율 및 등숙율도 수량에서 보인바와 같이 관수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그 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뚜렸이 보여 표준인 무관수구의 임실율은 82.6%이고 등숙율 68.6%일 때 관수로 인한 피해가 각각 0.5일간에서 89%와 88%, 1일간에서 83%와 78%, 2일간에서 52%와 40%, 3일간에서 24%와 19%, 그리고 4일간에서 12%와 9%를 보였으며 또한 관수일수와 임실율 그리고 관수일수와 등숙율간에는 각각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부(일)상관을 보였다. 3) 출수도는 관수일수에 따라 그 길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뚜렷하며 1% 수준에서 유의한 부(일)상관을 보였다. (2) 출수직전의 관수피해는 출수기보다 피해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량은 표준구에 비하여 0.5일간관수에서 86%, 1일간에서 82%, 2일간에서 60%, 3일간에서 36% 그리고 4일간에서 10%의 변이를 보였다. (3) 수잉기의 피해는 출수직전의 관수피해보다 더 큰 경향을 보여 표준구에 비하여 수량은 0.5일간 관수에서 79%, 1일간에서 64%, 2일간에서 48%, 3일간에서 34% 그리고 4일간에서 6%의 변이를 보였다.고 4일간에서 6%의 변이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