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쌀의 품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of Korean Rice

  • 김재욱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이계호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김동연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Kim, Z.U.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H.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D.Y. (College of Agriculture. Chun Nam University)
  • 발행 : 1972.04.12

초록

한국에서 장려품종으로 재배되는 쌀의품질을 알기 위하여 1971년도 수원에서 생산된 23품종(Japonica형 20종, Indica형 3종)의 벼를 시료로 하여 취반적성을 주로하여 쌀의 품질을 조사연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mylose의 함량은 21.2%에서 25.0%사이에 있으며 평균 23.0%이고 그중 indica형인 IR계통은 $24.0{\sim}25.0%$로 일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japonica형중에는 만경 팔금이 가장 높으며 등판 5호, 김마제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기타 품종은 대체로 평균치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있다. 2. Blue value는 $0.38{\sim}0.48$의 범위내에 있으며 평균 0.42이고 그중 IR계통은 0.46-0.48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며 japonica형중에는 재건이 가장 높고 수성, 시로가네가 그 다음으로 높으며 신 2호, 농백, 팔굉, 수원 82호, 만경, 농림 25호, 농광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낸다. 3. Alkali number는 $6.0{\sim}7.4$의 범위에 있고 평균 6.9인데 그중 IR 667계통은 $7.0{\sim}7.1$로 별다른 값을 나타내지 않고 japonica형에서는 수성 및 밀성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재건, 천추락이 가장 낮고, 농림 29호, 김마제가 그 다음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다. 4. 호화온도를 호화개시온도와 호화종료온도의 중간온도를 기준으로 할 때 대체로 $59.5{\sim}64^{\circ}C$의 범위내에 있는데 그중 IR 667계통이 가장 높은 편이고 japonica형에서는 진흥, 등판 5호, 천추락, 농광, 수원 82호가 비교적 높고 김마제, 팔굉, 재건등이 가장 낮은 편이다. 5. 가열흡수율은 2.60-2.92의 범위에 있고 평균 2.79인데 그중 IR 667계통이 $2.9{\sim}2.92$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며 japonica형에서는 김마제 수원 82호, 농림 29호, 등판 5호, 재건, 진흥이 비교적 높고 팔굉, 팔금 및 팔달등이 비교적 낮다. 6. 팽창용적은 29.8-33.7의 범위내에 있고 평균 31.8인데 그중 IR계통이 $33.0{\sim}33.7$로서 가장 높은 값에 속하고 japonica형에서는 등판 5호, 시로가네, 농림 25호가 비교적 높고 농광, 수성, 팔굉, 천추락등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7. 취반잔존액의 요오드정색도는 $0.35{\sim}0.58$의 범위내에 있으며 평균 0.46이고 그중 IR 667계통은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며 japonica형중에서도 팔금, 밀성, 팔굉, 진흥둥이 비교적 높고 만경, 농백둥이 낮은 값을 나타낸다. 8. 취반액의 용출고형물량은 $0.605{\sim}0.810$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 0.700이고 그중 IR667계통은 별다른 값을 나타내지 않으며 japonica형 중에서는 팔금, 팔굉, 진흥이 비교적 높고 재건, 농림 29호 농림 25호 농백이 비교적 낮다. 9. 취반액의 pH는 6.3-7.4의 범위내에 있고 평균 6.95이었다. 또한 IR 667계통이 6.3-6.6으로서 다른 japonica type보다 낮은 치를 보였다. japonica type 중에는 풍광과 시로가네가 가장 높고 신 2호가 가장 낮았다.

The rice qualities including cooking and eating qualities were studied using recommended Korean rice varieties (20 of japonica and 3 of indies type; IR 667) which were grown at Suwon, Korea in 1971. As the result, followings were obtained. 1. Amylose contents of white rice were varied with the varieties 21.1 to 25.5% and the average was 23.0%. Three indica type varieties (IR 667) showed higher amylose contents than the other japonica type varieties except Mankyung. Among japonica type varieties, Palkum, Mankyung composed the group of the highest amyloes content and Kimmaje was the lowest. 2. Blue values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38 to 0.48 and the average was 0.42 IR 667 varieties showed the highest blue value among them. Among japonica type varieties, Jaegun showd the highest blue value and Sooseung, Shirogane showed successively lower values, Shin #2, Nongbaik, Palkweng, Suwon #82, Mankyung, Nonglim #25 and Nongkwang relatively lower blue values. 3. Alkali numbers were in the range of 6.0 to 7.4 and the average was 6.8. Much difference was not shown in alkali number between IR 667 group and the japonica varieties group. 4. Gelatinization temperature were ranged from 59.5 to 64.0 IR 667 varieties showed relatively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than japonica type varieties. 5. Water uptake ratios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2.67 to 2.92 and the average was 2.79. IR 667 varieties were belonged to the group of highest water uptake ratio. Among japonica type varieties Kimmaje, Suwon #82, Nonglim #29, Deungpan #5, Jaegun, Jinhung, were belonged to the group of relatively high water uptake ratio and Palkweng, Palkeum and Paldal to the relatively low water uptake ratio. 6. Expaned volums were ranged from 29.8 to 33.7 and the average was 31.8. IR 667 varieties showed higher expanded volumes than japonica type varieties. 7. Intensities of starch-iodine blue value of residual liquid indicated 0.35 to 0.58. Among them IR 667 varieties showed relatively high intensities. 8. The range of total solids in residual liquids was 0.605 to 0.810 and the average was 0.700 Much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otal solids in residual liquid between IR 667 varieties and japonica varieties. 9. pH values of residual liquids were in the range of 6.3 to 7.3 and the average was 6.95. IR 667 varieties showed lower pH than japonira type varie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