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inseng on Visceral Nucleic Acid Content of Rats

고려인삼이 흰쥐의 장기조직 핵산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 Kim, Chul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Choi, Hyun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Chung-Chin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Jong-Kyu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Myung-Suk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Huh, Man-Kyung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김철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최현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김정진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김종규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김명석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허만경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71.06.01

Abstract

I. Chemical analysis A study was planned to see if administration of ginseng extract has any influence upon the adrenal, the hepatic, the splenic, and the pancreatic nucleic acid contents of rats,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ACTH administration as a substitute for stress reaction upon these nucleic acid contents of rats previously primed with ginseng. Ninety male rats$(body\;weight:\;150{\sim}200gm)$ were divided into the ginseng, the saline, and the normal control groups, which received for 5 days 0.5ml/100 gm body weight of ginseng extract solution (4 mg of ginseng alcohol extract in 1 ml of saline), same amount of saline, or no medication, respectively. On the 5th experimental day, each of the 3 groups was further divided into 2 subgroups yielding the ginseng, the ginseng-ACTIT, the saline, the saline-ACTH, the normal control, and the normal-ACTH subgroups. The ginseng, the saline, and the normal control subgroups were sacrificed 3 hours after the last medication, while the ginseng-ACTH, the saline·ACTH, and the normal-ACTH subgroups received ACTH(0.1 unit/subject) 1 hour after the last medication and were sacrificed after 1 more hour. The adrenal gland, the liver, the spleen and the pancreas of each rat were measured for RNA and DNA contents using the chemical method of Schmidt-Thannhauser-Schneider.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drenal RNA and DNA contents and RNA/DNA ratio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inseng group compared with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 Generally administration of ACTH reduced nucleic acid contents of the viscera examined. However, in the ginseng group the rate of decrease [(value of ginseng-ACTH subgroup-value of ginseng subgroup) x100/value of ginseng subgroup)] in adrenal RNA and DNA contents and in RNA/DNA ratio were more conspicuous than they were in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 2. Hepatic RNA and DNA contents and RNA/DNA ratio were all significantly less in the ginseng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 After ACTH, the rate of decrease in hepatic RNA, DNA, and RNA/DNA ratio of the ginseng· group was less conspicuous than those of the other 2 groups. 3. With regard to the splenic nucleic acid contents, the RNA and the RNA/DNA values of the ginse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lower than those of the saline group, while the DNA value of the ginseng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higher than that of the saline group.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CTH, the rate of decrease in RNA and DNA contents and in RNA/DNA ratio of the ginseng group was more conspicuous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less remarkable than that of the saline group. 4. Pancreatic RNA and DNA contents were notably lower in the ginseng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 However, the RNA/DNA ratio of the ginse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After ACTH, the rate of decrease in pancreatic RNA and RNA/DNA ratio of the ginseng group wa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more than that of the saline group, while the DNA content was actually increased in the ginseng group though it decreased in the normal control and the saline groups. Although the results are not clear enough for an accurate interpretation, they seem to indicate that ginseng exerts notable influence upon the RNA and DNA contents and the RNA/DNA ratio of the viscera stodied. On the whole the drug tends to increase the RNA and DNA contents and RNA/DNA ratio of the adrenal gland but seems to diminish the values of the other 3 viscera. In the early period following ACTH, ginseng facilitates the fall in RNA and DNA contents and RNA/DNA ratio of the adrenal gland, while it tends to reduce the fall in the values of the other viscera studied. II. Autoradiographic and histochemical analysis It was planned autoradiographically and histochemically to affirm and extend the results obtained in part I with regard to the chemically assessed change in the adrenal, the pancreatic, the hepatic and the splenic DNA and RNA contents under the influence of ginseng and ACTH. Fourty male mice (body weight: $18{\sim}20gm$) and 20 male rats were used. Each animal species was divided into the saline, the ginseng, the saline-ACTH, and the ginseng-ACTH groups according to the administered drugs. In the mice, the adrenal, the pancreatic, the splenic and the hepatic DNA-synthetic activity was assessed autoradiographically after administration of $^3H$-thymidine. In the rats, the RNA content of the above 4 organs was assessed histochemically after staining them with methylgreen pyronin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Labeled cells were significantly more numerous in the adrenal cortex, the spleen and the liver of the ginseng group than in those of the saline group, although they were less numerous in the pancreas of the ginseng group than in the pancreas of the saline group. The adrenocortical, the pancreatic, the splenic and the hepatic tissues were stained with methylgreen pyronine more deeply in the ginseng group than in the saline group. 2. The adrenocortical, the pancreatic, the splenic and the hepatic tissues contained labeled cells less numerously in the saline-ACTH and the ginseng-ACTH group than in the saline and the ginseng groups. All these tissues were also stained with methylgreen pyronine less deeply in the saline-ACTH and the ginseng-ACTH groups than in the saline and the ginseng groups. 3. However, the adrenal cortex, the spleen, the pancreas, and the liver contained labeled cells more numerously in the ginseng-ACTH group than in the saline-ACTH group. the 4 tissues were stained with methylgreen pyronine more deeply in the ginseng-ACTH group than in the saline-ACTH group. It is inferr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ough with exception, the ginseng mostly facilitates cellular synthesis of nucleic acids and mitigates reduction in nucleic acid content of tissues after administration of ACTH.

1. 인삼주정추출물이 흰쥐의 부신, 간, 비장 및 췌장의 핵산 함유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인삼 투여를 받고 있는 동물이 스트레스(ACTH의 투여로 대신)를 받을 경우에 이들 장기 핵산 함유량에 어떠한 변동이 오는지를 알기 위하여 90마리의 흰쥐($150{\sim}200gm$) 수컷을 인삼군과 식염수군 및 정상군으로 나누고 이것을 각각 다시 둘로 쪼개어 인삼군, 인삼-ACTH군, 식염수군, 식염수-ACTH군, 정상군 및 정상-ACTH군의 여섯 작은 무리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인삼군과 인삼-ACTH군에서는 몸무게 100gm에 대하여 인삼주정추출액(생리적 식염수 1ml속에 4mg의 인삼주정추출물이 포함된 용액)을 0.5ml의 비율로 매일 등뒤 피하에 5일동안 주사하였으며, 식염수군과 식염수-ACTH군에는 생리적 식염수를 몸무게 100gm에 대하여 0.5ml의 비율로 인삼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실험시작 제 5일째에 정상군과 식염수군 및 인삼군은 각각 전처치 없이 또는 인삼 혹은 식염수 주사후 2시간 만에 도살하고, 정상-ACTH군, 인삼-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은 각각 직접 또는 인삼이나 식염수를 투여한 다음 1시간 만에 ACTH를 주사하고, 그 시각부터 1시간후에 도살하여 부신, 간, 비장 및 췌장 조직의 핵산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지표로하여 인삼이 장기 핵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부신조직 RNA, DNA 및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많다. 인삼군의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 및 식염수군에 대한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크다. 2) 간 조직의 RNA, DNA 및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값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인삼군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 및 식염수군에 대한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 적다. 3) 비장 조직의 RNA와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증가되며, 식염수군 보다는 감소된다. 인삼군의 DNA는 정상군에서 보다 감소되며,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증가된다. 인삼군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에 대한 정상-ACTH군의 그것 보다 크며, 식염수군에 대한 식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는 작다. 4) 췌장 조직의 RNA와 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감소된다. 인삼군의 RNA/DNA는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증가된다. 인삼군에 대한 인삼-ACTH군의 RNA와 RNA/DNA 감소율은 정상군에 대한 정상-ACTH군의 그것 보다 적으나 식염수군에 대한 실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는 현저하게 크다. 인삼-ACTH군의 DNA는 인삼군의 그것 보다 증가되었으나,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DNA는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보다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성적만으로 명확한 해석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인삼은 장기의 RNA, DNA 및 RNA/DNA 비율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인삼은 부신의 RNA와 DNA 함유량 및 RNA/DNA 비율을 모두 증가시키나 다른 장기에서는 이들 값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인삼의 투여를 받은 동물에서는 ACTH투여후 조기에 부신 조직의 RNA, DNA 및 RNA/DNA의 감소율이 커지며, 간, 비장 및 췌장 조직의 RNA, DNA 및 RNA/DNA의 감소율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2. 인삼 및 ACTH의 투여에 의하여 부신, 췌장, 간 및 비장의 DNA와 RNA 함유량이 변동하는 모습을 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여 얻은 전편의 성적을 형태학적 및 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입증할 목적으로 몸 무게 18~20gm의 마우스 수컷 40마리와 몸 무게 150~200gm의 흰쥐 수컷 20마리를 사용하여 각각 식염수군, 인삼군, 식염수-ACTH군 및 인삼-ACTH군의 4무리로 나누고 그중 마우스에서는 $^{3}H$-thymidine을 이용한 자기방사법을 써서 부신, 췌장, 비장 및 간등 4조직의 DNA 합성능을 비교 관찰하고, 흰쥐에서는 methylgreen pyronine 염색을 이용한 조직화학적 방법을 써서 위의 4조직의 RNA 함유량을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 투여는 마우스의 부신피질과 비장 및 간의 표지 세포수를 식염수의 투여만을 받은 대조동물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시키나, 췌장에서 만은 오히려 표지 세포 수효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인삼을 투여받은 흰쥐의 부신을 비롯하여 췌장, 비장 및 간 조직은 모두 methylgreen pyronine에 의하여 식염수군에서 보다 짙게 염색된다. 2. 식염수-ACTH군 및 인삼-ACTH군의 표지 세포수는 부신피질, 췌장, 비장 및 간 조직에서 모두 식염수군 및 인삼군에 비하여 감소되고, methylgreen pyronine으로 염색 할 경우에도 이들 조직은 식염수군 및 인삼군에 비하여 모두 묽게 염색된다. 3. 그러나 인삼-ACTH군의 표지 세포수는 부신피질, 비장, 췌장 및 간 조직에서 모두 식염수-ACTH군의 그것에 비하여 덜 감소되며, pyronine 염색에서도 4조직은 모두 식염수-ACTH군에서 보다 짙게 염색된다. 그러므로 인삼은 핵산 함유량에 현저한 영향을 미쳐 대체로 핵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ACTH투여로 인하여 야기되는 조직 핵산 함유량의 감소를 어느 정도 억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