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ress Management by Region through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역별 스트레스 관리 방안 연구

  • Sungsik Park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yong ui kim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Dongyi Song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Jaeho Lee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ji am park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Minji Son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Byung Jin Song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박성식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김용의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송동이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이재호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박지암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손민지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송병진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본 연구는 스트레스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질병관리청의 '2023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와 HIRA 빅데이터 개방포털의 '지역별 정신질환_우울증 진료현황(2019~2023 년)'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심리,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우울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지역별 스트레스 및 우울감 인지율과 실제 우울증 진료 통계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여러가지 해결책을 통해 사람들 간 소통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할 방법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통계와 지표를 활용해 스트레스 및 우울감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균. (2004). 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1), 59-84. 
  2. 류은혜, 김은정. (2023). 개인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지역 특성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20 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6(1), 147-163, 10.36700/KRUMA.2023.3.36.1.147 
  3. 이은경 and 박진화. (2016).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3), 15-24. 
  4. 조성은, & 오경자.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 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한국심리학회지: 건강,12(4), 797-812. 
  5. 이풍훈. (2015). 최근 5 년간 우울증 진료경향과 겸험률 비교.
  6. 이연수. (2020). 도시환경요소와 우울증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COVID-19 시대의 도시계획전략을 중심으로 -. 부동산 분석, 6(3), 69-88. 
  7. 박재규, 이정림. (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보건과 사회과학, 29(1), 99-128.
  8. 배소연, 권순희. (2020). SNS <고독방>의 커뮤니케이션 양상 연구: 익명성이 보장된 공간에서 이미지로 대화하기. 교과교육학연구, 24(3), 296-308. 
  9. 장수미 , 정지형 and 이희연 (2022). 휴먼서비스 분야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42(1), 20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