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D 설계도면 데이터 추출 및 3차원 공간 데이터 구축을 통한 건설산업 디지털 트윈 자동화 기법 연구

Research on Digital Twin Automation Techniqu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2D Design Drawing Data Extraction and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발행 : 2021.10.03

초록

다양한 산업영역에 대하여 정부기관, 기업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수립 및 추진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기술 혁신을 통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시기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성공사례로 글로벌 기업 나이키, 스타벅스의 이야기를 많이 접할 수 있다. 이 두 기업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국내 기업들 또한 모바일, 클라우드, IoT, 인공지능, AR·VR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효율 높은 생산성을 위한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프로세스를 구축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 산업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시공 전주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원 디지털 트윈 공간 구축 자동화 프로세스 기법을 소개하고 앞으로 건설 산업영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대하여 알아본다.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are establishing and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are lead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successful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time of change, we can see many stories of global companies Nike and Starbucks as successful exampl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se two companies are showing successful results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Domestic companies are also conducting digital innovation based on mobile, cloud,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VR technologies, and are establishing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processes for high efficiency and high productivit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3D digital twin space construction automation process technique using data from the entire construction cycle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look in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utur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o. 2021R1I1A3057800) 과제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