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문청정 빅데이터 분석: 위문기거 일례

A Big Data Analysis of Yumentingzheng: Weiwenqiju as an Example

  • 발행 : 2021.10.03

초록

청나라 황제가 신하들과 정사를 논한 내용을 기록한 중국의 어문청정은, 한국의 조선실록과 같은 중요한 문서이다. 본 논문은 만주글자로 쓰여진 어문청정을 빅데이터 분석하기 위한 방법과 그 단계를 기술한다. 만주글자로 씌여진 문서의 빅데이터 분석에는 사전에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이루어질 사전 연구를 통하여 만주 글자로 씌여진 텍스트가 라틴문자로 전사된 단계에서, R언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어문청정을 전사하는 방식은 압카이 방식을 채택하였고, 위문기거 부분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Yumentingzheng, which records the contents of the Qing dynasty's discussions with his subjects, is an important document like the Annals of Joseon in Korea.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 and steps for big data analysis of Yumentingzheng written in Manchu alphabet. In big data analysis of documents written in Manchu characters,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in advance, and research on these should be preceded. In this paper, a method of big data analysis using the R language was proposed in the stage where the text written in Manchurian characters was transliterated into Latin characters through a preliminary study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In the proposed method, Apkai method was adopted for the transliteration of Wumentingzheng, and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were presented using the text of Weiwenqiju.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