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osal of a Learning Model for Mobile App Malicious Code Analysis

모바일 앱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학습모델 제안

  • Published : 2021.10.03

Abstract

App is used o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also has malicious code, which can be divided into normal and maliciou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acking codes. Because there are many kind of malware, it is difficult to detect directly,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malicious app using AI.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are to detect malicious app by extracting features from malicious app. However, the number of types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making it impossible to detect malicious code.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two more methods besides detecting malicious app by extracting features from most existing malicious app. The first method is to learn normal app to extract normal's features, as opposed to the existing method of learning malicious app and find abnormalities (malicious app). The second one is an 'ensemble technique' that combines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first proposal. These two methods need to be studi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future mobile environment.

앱(App)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르는 응용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당연하게도 앱에도 악성코드가 있는데, 악성코드의 유무에 따라 정상앱과 악성앱으로 나눌 수 있다. 악성코드는 많고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AI를 활용하여 악성앱을 탐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에서는 악성앱에서 Feature를 추출하여 악성앱을 탐지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종류와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일일이 탐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대부분의 악성앱에서 Feature을 추출하여 악성앱을 탐지하는 방안 외에 두 가지를 더 제안하려 한다. 첫 번째 방안은 기존 악성앱 학습을 하여 악성앱을 탐지하는 방법과 는 반대로 정상앱을 공부하여 Feature를 추출하여 학습한 후 정상에서 거리가 먼, 다시 말해 비정상(악성앱)을 찾는 것이다. 두 번째 제안하는 방안은 기존 방안과 첫 번째로 제안한 방안을 결합한 '앙상블 기법'이다. 이 두 기법은 향후 앱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ICT혁신인재4.0사업의 연구결과로 수행되었음(IITP-2021-2020-0-0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