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을 활용한 설비 이상 탐지 및 성능 분석

Anomaly Dete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 발행 : 2021.10.03

초록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통해 제조업의 생산설비에 센서가 설치되고 각종 공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제조공정의 설비이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을 줄이기 위해 실시간 설비 이상 탐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설비의 이상탐지를 위해 제조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인 Autoencoder(AE), VAE(Variational Autoencoder), AAE(Adversarial Autoencoder)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조데이터는 단순 이동 평균 기법과 전처리 과정을 거쳐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단순이동평균 기법의 윈도우 크기와 AE 모델의 특징벡터 크기에 따른 성능분석을 실시하였다.

Through the smart factory construction project, sensors can be installed in manufacturing production facilities and various process data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this, research on real-time facility anomaly detec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production interruption due to facility abnormal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paper, to detect abnormalities in production facilities, the manufacturing data was applied to deep learning models Autoencoder(AE), VAE(Variational Autoencoder), and AAE(Adversarial Autoencoder) to derive the results. Manufacturing data was used as input data through a simple moving average technique and preprocessing process, and 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window size of the simple movement average technique and the feature vector size of the AE model.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