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재의 재활용 활성화 방안

Method recycling of incineration materials in household waste

  • 발행 : 2021.10.03

초록

소각로에 반입된 생활폐기물은 고온으로 소각되고 잔여물인 소각재가 발생하게 된다. 소각재에는 바닥재와 비산재가 있으며, 소각로에 전체 반입되는 양에 약16.5%정도의 소각재(바닥재, 비산재)가 발생한다. 현재 기존 매립되는 증가하는 소각재의 양은 기존 매립장의 매립 연한을 감소시키고 신규 매립장 건립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주변환경 피해(임야절취, 악취, 수질오염 등)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소각재의 재활용 활성화를 통해 소각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기술적 재활용 방안으로 토공재료 및 콘크리트 제품 등을 생산하여 재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정부 및 각 지자체에서는 소각재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폐기물 관리법 등 관련법을 정비하고 재활용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소각재의 재활용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 household waste are incinerated on a large scale. Incineration ashes including flooring and scattering materials are generated in the incineration facilities. The incineration materials (flooring and scattering) are generated 16.5% of the total amount ashes brought into the incinerator. The amount of incineration materials decrease the landfill period of existing landfills and increase the need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landfills. This study introduces technical and institutional suggestions to solve increasing incineration ash problem by recycling them. As a technical recycling method, incineration materials can be recycled by producing earthwork materials and concrete produc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promote recycling by improving related laws such as the Waste Management Act and by preparing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such as incentives for recycling companies for Green New Deal strateg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