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w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 in Central Region

중부지역에서 들깨의 파종시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Young-Sang Kim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i-Hyun Kim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eol-Ku Youn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Ik-Jei KIm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Young-Ho Kim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Myeong-Hee Le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들깨는 식물성 오메가-3의 우수한 급원으로서 국내에서 그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들깨 재배농가에서는 파종시기를 고려한 적합한 들깨 품종에 대한 요구가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중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6월 상순, 6월 중순, 7월 초순 3시기로 구분하여 파종하였으며, 토양 검정시비량을 시비하고 완전임의배치법으로 3반복으로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시험품종으로 다유 등 10품종을 선정하여 시험하였다. 6월 초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0일로 가장 빨랐으며, 다유, 대실, 들샘, 새엽실 품종이 9월 10일로 가장 늦었다. 6월 중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7일로 가장 빨랐으며, 들샘 품종이 9월 11일로 가장 늦었다. 7월 초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7일로 가장 빨랐으며, 들샘과 새엽실 품종이 9월 11일로 가장 늦었다. 들깨 천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적으로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6월 초순 파종에서 백진, 들향, 새엽실 다유 품종이 10a 당 11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냈으며, 6월 중순 파종에서 다유, 들향, 백진, 새엽실 품종이 10a 당 12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내었고, 7월 초순 파종에서는 다유, 들향, 새엽실 품종이 10a 당 11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부지역에서는 대체적으로 6월 중순 파종이 적합하였으며 전작물을 고려하여 들깨 파종시기를 빠르거나 늦게 할 경우에는 각 시기에 적합한 품종을 파종하면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가능하다. 중부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영향이 적고 안정적인 수량을 생산할 수 있는 품종으로는 다유, 들향, 새엽실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품종별 최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각 품종에 맞는 파종기를 준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작부체계 적응 들깨 품종선발 및 들기름 품질유지 기술개발』사업(사업번호: PJ0125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