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Character of Pumpkin and Squash Genetic Resources (Cucurbita spp.) Reserved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농업유전자원센터 호박속 자원의 구분 및 특성

  • Eunae Yoo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Gyu-Taek Cho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Do Yoon Hyu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Kyung Jun Le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Ik Jang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Jungyoon Yi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Seungbum Le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SeongHoon Ki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 Sookyeong Le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 유은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조규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현도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경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장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승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정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성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이수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 호박속 식물로 원산지는 열대 남아메리카로 추정되며 1년생 혹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다. 호박은 비타민A와 비타민C가 풍부하고 이뇨작용 효과가 탁월해 피부를 좋게 하고 부기를 빼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자원의 내력과 형태적인 특성을 그룹화하여 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등록자원은 총 5종(C.pepo, C. moschata, C.maxima, C.argyrosperma, C .ficifolia) 1,640자원으로 주요 원산지는 한국 589자원(35.9%), 미국 122자원(7.4%), 러시아 79자원(4.8%), 멕시코 49자원(4.2%), 터키 56자원(3.4%)이었으며 국내 원산의 경우 강원도에서 수집된 자원이 66자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1,640 자원 중 재래종은 733자원(44.7%)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육성품종이 133자원(8%)으로 많았다. 생장형이 조사 된 301자원 대부분이 덩굴성이며 준왜성 16자원, 왜성 14자원이 있었다. 호박은 과실 모양과 색, 잎 모양, 줄기 모양 등 생육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조사 되었으며 과경 등 몇 가지 특징은 완벽하지 않지만 종(species)을 구분하는 간이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자원은 조사 된 1,170 자원 중 우리나라 재래종인 참호박(IT104575)을 포함한 7자원이 조사되었다. 293개 자원의 과실당도는 2.2~15.4brix까지 다양했으며 당도 12brix 이상 자원은 IT200650을 포함하여 6자원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호박속 자원의 내력 및 생육 특성은 육종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자원 내력정보의 보완, 형질과 기능성 물질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활용의 가치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반기술개발의 지원(PJ01491905)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