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in Jeolla-do

전라도 일대의 생약자원식물 분포현황

  • 이동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허태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박병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이준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김지동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이병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조사실)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각 국가들은 자국내 유용자원식물의 주권확립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기원종 확립과 진위 감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도 지역 내 생약 자원식물의 분포현황 및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8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계절별로 해안가, 산지, 농경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라도 내에서 확인되 생약자원식물은 106과 243속 405종 31변종 4품종 총 440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8%에 해당된다. 본 조사지역 내에서 확인된 생약자원 식물 중, 특산식물로는 매미꽃, 할미밀망,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로는 CR등급의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VU등급의 약난초, 흑삼릉 등 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생약자원식물의 표본, 화상자료, 종자, 생약부위 등은 추후 우리나라의 생약자원에 대한 관리DB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비(18172MFDS201)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