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Suitable Wild Herbs and Vegetables for Cultivation of Sub-highland

준고랭지역 재배 적정 산채류 선발

  • Ahn, Song-Hee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Moon, Jung-Seob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Lee, Yong-Mun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Yang, Jin-Ho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Kim, Ju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Kim, Hee-Jun (Herbal experiment station, Jeonbuk A.R.E.S Medicinal Plan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안송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 문정섭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 이용문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 양진호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 김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 김희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 Published : 2018.04.27

Abstract

전라북도 동부권 지역은 중산악지형으로 표고 100~500m 산지가 69%, 500~1,000m가 26%로 이루어져 있어, 산채를 재배하기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산채류의 재배 및 이용에 대한 농업인들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 준고랭지역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산채작목을 선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표고 500m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허브시험장에서 노지재배, 남원시 주천면 표고 530~540m, 진안군 주천면 표고 340~350m에 위치한 농가포장에서 임간재배를 실시하였다. 대상작물은 개미취(Aster tataricus),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산마늘(Allium microdictyon),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등 9종을 2016년 종묘를 정식하였다. 정식 2년차에 해당지역의 5월~9월 평균기온 및 조도 등 생육환경을 조사하고, 시험작물의 출현율, 생육특성,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기온은 노지가 $20.8^{\circ}C$, 남원임간은 $20.3^{\circ}C$, 진안임간은 $20.5^{\circ}C$이었으며, 평균조도는 노지가 37,362Lux, 남원임간은 7,816Lux, 진안임간은 25,316Lux이었다. 노지에서 출현율은 개미취, 갯기름나물, 눈개승마, 산마늘,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이, 임간에서는 개미취, 곤달미, 눈개승마, 단풍취, 산마늘, 어수리, 우산나물이 높았다. 생육특성은 노지에서 개미취, 갯기름나물, 눈개승마, 섬쑥부쟁이, 임간에서는 단풍취, 산마늘, 우산나물의 생육이 좋았다. 수량은 노지에서 개미취, 갯기름나물, 곤달비, 산마늘, 섬쑥부쟁이, 어수리가 높았으며, 남원임간에서는 곤달비, 단풍취, 우산나물, 어수리가, 진안임간에서는 개미취, 갯기름나물, 산마늘, 우산나물의 수량이 많았다. 이와 더불어 준고랭지에 적합한 산채류률 선발하기 위해서는 차후 재배 지역 및 방법의 차이에 따른 산채작물의 연차별 수량성과 경제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