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standard of Communication Tool

플랫폼 분류 기준 고찰 : 감각의 입·출력

  • 김효은 (한국체대 교양교직학부)
  • Published : 2018.05.11

Abstract

Digital content requires the concept and structure that give us insights into the languages between computers and humans and how humans experience manifested among the flow of characters, images, and voice. Communicology, $Vil{\acute{e}}m$ Flusser's original study, allows us to reconsider and to reconstruct the boundary of human awareness. This paper intends to begin understanding digital content consisting of numerical codes by reviewing communicology. communicology helps to break up pre-existing categories and thinking about new standards. 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Planning content can be actualized by classifying and reconstructing content that are input/output of senses.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boundary' and 'direction,' communication elements that cannot be broken down any further. There is no need to communicate if there is no boundary. The operation of communication is comprised of 'direction.' Considering humankind as the standard, the boundary that takes in stimulation from outside can be seen as senses. Direction can be expressed as input/output. Output assumes that technical pictures receive information. The coordinates for various pre-existing platforms and content and uncovered platforms can be set with a consistent standard. This allows us to escape from the standard of flat content that was activated by sight and rationality at the ideology of characters, to seek a three-dimensional standard that can be vitalized by various senses and irrationality, and to reconstruct the input/output of sens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planning a new platform.

정보콘텐츠는 문자, 이미지, 음성에 플로우로 나타나는 인간 체험 방식 및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언어까지 들여다 볼 수 있는 개념과 구조를 요구한다. 빌렘 플루서의 독창적인 학문인 코무니콜로기는 인간 인식의 경계를 재고하게 하면서, 경계를 재구성하는 지평을 열어 준다. 이를 통해 인간 소통의 근본 요소인 감각의 입출력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소통 도구를 분류하고 재구성하는 기준이 된다. 인간을 기준으로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경계는 감각으로 볼 수 있으며, 소통이 이루어지는 방향은 입출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콘텐츠를 향유한다는 것은 인간 소통의 경계인 감각이 방향을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감각의 입출력을 소통 도구에 적용해 보면, 책은 시각의 입력으로, 텔레비전은 시청각의 입력으로, 데스크탑은 시청각의 입력과 촉각(손가락)의 출력으로, 모바일은 신청각의 입력과 촉각(손가락, 다리)의 출력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다양한 플랫폼과 콘텐츠,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플랫폼도 일관된 기준을 통해 좌표를 정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공학에서 접근할 수 없는 콘텐츠 기획과 전망이 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