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inel-1과 Landsat-8 영상을 활용한 수표면적 분석사례

A Case Study on Water Area Monitoring Using Sentinel-1 and Landsat-8

  • 유정흠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 이미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 이달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 김진영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 박영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발행 : 2017.11.17

초록

광학 위성영상의 경우 기상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취득과 분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획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광학 위성영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AR 위성영상과 광학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재난에 대해 효율적인 재난관리의 가능성을 북한 황강댐 수표면적 분석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위성영상 수집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획득된 자료로 SAR 위성영상은 Sentinel-1을, 광학 위성영상은 Landsat-8을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수증기, 구름 등 기상조건에 의해 Landsat-8을 획득하지 못한 부분은 Sentinel-1으로 대체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6년 5월 19일자 관측된 황강댐의 만수위 당시 수표면적과 2017년 7월 18일에 관측된 황강댐의 수표면적이 유사하여 방류위험성이 있어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와 Landsat-8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보여주는 사례를 통하여 선제적인 재난관리에 활용성을 보여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