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tes and tool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웹접근성 지침에 따른 사이트와 도구 제작

  • Published : 2014.11.05

Abstract

Means reducing the gap to prevent discomfort to use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b accessibility is disabled. The current was strong san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from the year 2014 to the beginning Government, the public policy of the Web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bligations. According to 2013 data of the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is only half that of the general public by 28.8% to 100% of the domestic SNS public utilization. Began to cause a change in the web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mobile SNS. And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al content to be neglected Prosumer the environment of their production is consumed too quickly, rapidly problem. Let's start from the idea that we provide a convenient tool for Web accessibility is not an issue on the web site accessibility standards of the project is to create these problems.

웹 접근성은 장애인의 시각에서 정보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격차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현재 웹 접근성에 대한 정책은 관공서, 공기업을 시작으로 시행되어 왔던 웹 접근성 준수 의무가 2014년 올해부터 제재가 강해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 자료에 따르면 국내 SNS 이용률은 일반 국민 100% 대비 28.8%로 일반 국민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모바일과 SNS의 등장이 웹 환경에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문제는 너무 빠르게 소비되고 빠르게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지는 프로슈머의 환경이 정보적 소외계층의 이용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런 문제들을 웹 접근성 표준에 문제가 되지 않는 사이트를 만들고 편리한 웹 접근성 도구들을 제공하자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