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사이버안보 시스템 관련 법률안 분석과 연구

Mobile Auto questions and scoring system

  • 남원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박대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발행 : 2014.10.28

초록

스마트폰에서 인터넷뱅킹, 전자상거래, 업무의 처리 등 국민의 정치, 경제, 사회 실생활의 업무는 사이버 공간에서도 처리된다. 사이버 공간과 실제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국가의 인프라 시설 관리 및 운영에서도 사이버 테러가 발생하고, 국가 안보위협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의 주요 인프라 및 정부 서비스가 정보통신 시스템과 시설로 연계되어 있다. 사이버 테러와 국가 사이버안보에 관한 중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법과 제도적 장치로서, 국가사이버안보시스템에 관한 법률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사이버안보 관련법을 중심으로 분석과 현행 우리나라의 사이버 관련 법체계와 대별하여 분석하고, 국가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문제와 국가사이버안보 인력 및 산업육성이 논의되어져야 하며, 사이버테러 대응 체계를 분석하여, 국가 사이버안보 시스템 관련 법률제정의 필요성을 연구한다.

Internet baking, e-commerce, business processing, etc on smartphone handing could be possible in present days. Ambiguity between cyber and real life has made vulnerability on infrastructure, Gov't Service and National security by cyber terrorism. Especially, Lots of Infrastructure and Gov't Service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were exposed by Cyber terror. Legal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keep from these threats. This paper proposed needs of cyber legal system by analyzing proposed cyber related code on Korean National Assembly, issue on Cyber Control Tower, National Cyber Security Industry and Human resour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