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리스트 기반 프로그램 실행 통제 방안 연구

A Study of Program Execution Control based on Whitelist

  • 발행 : 2014.10.28

초록

현재 사이버 위협은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진화하는 악성코드에 의한 보안 사고의 피해도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보안체계를 회피한 은밀한 악성코드 기반의 공격으로 기밀 데이터 및 개인정보 유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블랙리스트 기반의 시그니처 탐지 기법으로는 진화된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의 대응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가된 프로그램의 위변조 여부, 인가된 프로그램의 실행여부, 운영체제 주요 파일에 대한 변경 여부 등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탐지 및 식별로 악성코드 행위를 차단하는 화이트리스트 기반 프로그램 실행 통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the growing cyber threat continues, the damage caused by the evolution of malicious code incidents become more bigger. Such advanced attacks as APT using 'zero-day vulnerability' bring easy way to steal sensitive data or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it has a lot of limitation that the traditional ways of defense like 'access control' with blocking of application ports or signature base detection mechanism. This study is suggesting a way of controlling application activities focusing on keeping integrity of applications, authorization to running programs and changes of files of operating system by hardening of legitimate resources and programs based on 'white-listing' technology which analysis applications' behavior and its us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