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14.02a
- /
- Pages.452-452
- /
- 2014
핵융합로용 플라즈마 대향부품 개발을 위해 제작된 텅스텐/FM강 HIP 접합 목업의 수명 평가 해석
-
Lee, Dong-Won
;
- Sin, Gyu-In ;
-
Kim, Seok-Gwon
;
- Jin, Hyeong-Gon ;
-
Lee, Eo-Hwak
;
-
Yun, Jae-Seong
;
- Mun, Se-Yeon ;
- Hong, Bong-Geun
-
이동원
(한국원자력연구원) ;
- 신규인 (한국원자력연구원) ;
-
김석권
(한국원자력연구원) ;
- 진형곤 (한국원자력연구원) ;
-
이어확
(한국원자력연구원) ;
-
윤재성
(한국원자력연구원) ;
- 문세연 (전북대학교) ;
- 홍봉근 (전북대학교)
- Published : 2014.02.10
Abstract
블랑켓 일차벽이나 디버터와 같은 핵융합로 플라즈마 대향부품은 플라즈마로부터 입사되는 중성자 및 입자들을 차폐하여 구조물을 보호하고, 발생열을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냉각재를 활용한 열제거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고속중성자와 입사 열부하 및 여러 입자들로부터 블랑켓 및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차폐체와 구조물로 구성된다. 세계적으로 차폐체로서는 텅스텐 혹은 텅스텐 합금, 구조물용 재료로는 저방사화 Ferritic Martensitic (FM) 강이 유력한 후보재료로 개발, 연구 중에 있다. 국내에서는 국제핵융합로(ITER) 사업을 통해 고온등방가압(HIP, Hot Isostatic Pressing)을 이용한 이종금속간 접합기술과 한국형 저방사화 고온구조재료인 ARAA (Advanced Reduced Activation Alloy)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설계, 접합법 개발, 제작목업의 건전성 평가 등이 수행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핵융합 기초사업의 일환으로 전북대와 공동으로 수행 중인 건전성 평가체계 개발을 위해, 기 개발된 접합법을 활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