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에콰도르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남미 직항물류망 연구

A Study on Direct Logistics Lines between Asia and South America through Korea and Ecuador

  • 김명재 (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 장운재 (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Kim, Myung-Jae (Division of Int'l Maritime Transportation Science, Mokpo National Maritime) ;
  • Jang, Woon-Jae (Division of Int'l Maritime Transportation Science, Mokpo National Maritime)
  • 발행 : 2013.06.27

초록

우리나라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권과 브라질 칠레 등 남미 간 무역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주요 품목은 농수산물, 공산품, 광물 등 원자재를 비롯하여 매우 다변화 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른 국제물류수단은 주로 항공 및 컨테이너 라이너에 의존하고 있으나 대부분 여러 기항지를 경유하고 있으므로 소요시간이 많이 길고 환적 등 다소 복잡한 수송루트를 거쳐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어 화주들이 물류비절감에 애로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평양을 마주하며 대권항법에 따라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특히 동북아시아와 남미의 허브로 기능할 수 있는 한국과 에콰도르의 주요 항만을 이용한 두 지역 간의 직항물류망을 개설함으로써 물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rade turnover between asia including our country and China and South America including Brazil the Chile is increasing continuously. That key item is diversified very from the raw materials to the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the industrial product and the mineral. The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of these freight mainly depends in the aircraft and the container liner. But,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most various port of call is makes transshipment cargo and the long lead-time. so the goods expense of the style increases. The research proposed logistics network's construction between the main harbors of Korea and Ecuador. These nation according to great circle navigation is contiguous geographically in order to confront Pacific Ocean. These nation is contiguous geographically in order to confront Pacific Ocean by the great circle navigation. Specially Korea will become the hub-port of Northeast Asia and South America, which is caused by direct logistics lines's establish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