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erating activation of small dock - focusing on the busan new port

중소형부두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부산 신항을 중심으로

  • Ko, Beo-Deul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Myoun-Soo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Nan, Ki-Chan (Dept. of Logistics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wak, Kyu-Seok (Dept. of Logistics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고버들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이면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남기찬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 곽규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Received : 2010.05.23
  • Accepted : 2010.05.23
  • Published : 2011.06.09

Abstract

Transshipment cargo volume in 2010 compared to 1st quarter 2011 increased 8.43 percent of busan port for transshipment of cargo. thus transshipment of cargo is growing among, south east container terminals and Horando area of new port is planing to develop using small dock for the operations in order to enable.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duce implications for operating activation about 6 berths of feeder port in pusan new port that is planing to develop with dock that could be docked very large container ships and feeder dock that could be handled transshipment of cargo.

2010년 1사분기 환적물동량에 비하여 2011년 동 분기 부산항 환적물동량은 8.43% 증가하였다. 이렇게 환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 부두(이하 피더부두)를 활용한 운영 효율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부산 신항 서컨부두 남측과 호란도 지역을 포함하여 6개 선석이 개발 계획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할 수 있는 부두와 환적화물을 처리 할 수 있는 피더부두와 연계하여 개발 계획 중인 부산 신항의 피더부두 6개 선석에 대한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