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자연환기구 공기 이동량 조사

Investigation of amount of the Air Flow through a Natural Ventilator in the Subway System

  • 배성준 (서울메트로, 기술연구소) ;
  • 황선호 (서울메트로, 기술연구소) ;
  • 신창헌 (서울메트로, 기술연구소) ;
  • 김신도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 환경공학과) ;
  • 이경빈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 환경공학과) ;
  • 박덕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환경연구실)
  • 발행 : 2011.05.26

초록

지하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전에는 승강장을 통해 환기되던 공기가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후에는 터널 내부에 정체되면서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이 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터널환기구가 터널에 정체된 공기의 유일한 순환구로 이용되고 있다. 스크린 도어는 기존 터널환기시스템을 설계할 때 고려되었던 사안은 아니었으며, 지하철 운행 시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한 지하 터널 속에서의 공기역학적 변화는 매우 클 것이다. 그러나 지하철이 통과하는 공간인 터널환기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열차가 지하 터널 구간을 운행할 때 발생하는 열차풍에 의한 기류속도를 측정하고, 전철구간의 자연 환기구를 통한 기류의 유입 및 유출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대표적인 기류패턴을 추출함으로써 향후 지하 터널 신설 및 환기 설비 설계에 따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fter installation of platform screen door (PSD) in subway stations, particulate matters (PMs), which are originally ventilated through the platform, are accumulated inside the tunnel of the subway system. It deteriorates an air quality inside the tunnel. To ventilate the accumulated PMs inside the tunnel, the natural ventilator which are located inside the tunnel (namely, tunnel ventilation system) are used as only one circulation system.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PSD can affect to the aerodynamic variations inside the tunnel, since the PSD system was not considered factor when the tunnel ventilation system was designed. However, the researches about the tunnel ventilation system have not been 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two objectives: 1) to measure the velocity of air current by the train-induced wind, when the train passes through the tunnel, and 2) to investigate the typical patterns of air current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low/outflow of air current which passes through the natural ventilation system. This study can suggest the basic standard to newly design the tunnel of the subway system as well as the ventilation system.

키워드